매일신문

'신당행' 누가 가고,누가 남나?

집권여당인 민주당이 20일 분당된다.

민주당과 통합신당으로 나눠진다.

지역 민주당도 잔류파와 탈당파로 갈라선다.

잔류파인 구주류의 세가 강하지 않은 지역에서는 탈당파 즉 신당파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민주당에 대한 지역에서의 지지도가 더이상 내려갈 수 없을 만큼 바닥이라는 점에서 "통합신당은 적어도 민주당보다는 나을 것"이라는 데 이견이 별로 없다.

하지만 그래도 신당으로 가지 않고 남는 사람이 다수 있다.

그렇다고 민주당을 사수하겠다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신당이나 민주당이나 지금같은 상황이라면 지역에서 '별로일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신당으로 가도 환영받지 못할 것이라는 점도 작용하고 있다.

잔류파들은 "신당 창당의 명분이 너무나 약하고 지역에서는 정치적으로 큰 의미가 없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또 신당으로 갈 경우 정치적 선택의 폭을 좁혀 놓을 것이라는 우려도 하고 있다.

어차피 내년 총선을 앞두고 지역의 정치 지형이 요동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반면 신당파는 "민주당이 잔류파와 신당파로 분리될 경우 잔류파는 호남 중심이라는 점이 더욱 분명해 진다"며 "민주당 간판으로 지역에서 정치를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

또 정치개혁의 화두를 던져 여야를 막론하고 정치개혁에 나서지 않을 수 없게끔 만든 것도 신당파들이라며 통합신당이 대세라고 강조한다.

대구의 변화를 신당이 주도적으로 이끌 것이라는 점도 덧붙였다.

대구에서는 안원욱(동), 안경욱(북갑), 강기룡(수성갑), 이원배(수성을), 박기춘(달서갑) 위원장 등이 신당파들이다.

한화갑 전 대표의 측근인 이헌철 서구위원장, 그리고 이성환 북구을위원장, 조현국 남구위원장 등 3명은 잔류파다.

중구와 달서을, 달성군은 위원장이 없는 사고지구당이다.

경북에서는 윤영호 지부장(청송.영양.영덕)은 신당행을 공식화했고 장영철(칠곡) 전 의원, 정동윤 지역난방공사 사장(영천) 등도 신당으로 갈 것으로 보인다.

김병구(포항남.울릉), 윤정균(군위.의성) 위원장도 신당파다.

그러나 신당 창당의 부당성을 강조하며 신주류를 비판해온 김중권 전 대표는 잔류파로 분류된다.

김 전 대표가 내년 총선에서 민주당 간판으로 출마할 지는 두고 볼 일이지만 신당파의 반대편에 서 있는 것은 분명하다.

이동관기자 llddk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