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경제 갈수록 쪼그라든다

GRDP(지역내총생산), 제조업체 전국 비중과 생산액, 1인당 부가가치, 수출비중, 금융권 여.수신 비중 등 대구경제의 현주소를 나타내주는 각종 지표들이 1990년 이후 갈수록 악화되는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구상공회의소가 최근 1990년 이후 대구경제의 주요지표 추이를 분석한 결과, 2001년 대구의 GRDP(지역내총생산)는 약 18조5천억 원으로 전국의 3.5%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수치는 1990년 대구의 GRDP 전국 비중 4.0%보다 줄어들었을 뿐 아니라, 전국인구 중 대구인구의 비율 5.3%(254만1천명)와 비교해 볼 때도 크게 낮은 것이다.

이 때문에 대구의 1인당 GRDP는 1995년 약 562만원으로 전국 평균의 70.9%를 기록한 이래 매년 감소세가 이어져 2001년 대구의 1인당 GRDP는 728만원으로 전국 평균의 64.6%에 불과했다.

대구의 사업체 수(2001년)는 17만8천921개로 전국에서 5.9%를 차지하고 있지만, 종사자 수는 89만여명으로 전국의 4.8%에 불과해 소규모 영세업체들이 상대적으로 많다는 사실이 입증됐다.

특히 광업.제조업 사업체 수는 1990년 전국비중 6.8%에서 2001년 6.4%로 소폭 줄어들었으나, 종사자 수와 생산액은 각각 4.7% 및 2.5%를 기록해 1990년 5.3% 및 3.2%에 비해 큰 폭으로 떨어졌다.

광업.제조업의 1인당 부가가치의 경우 1992년 전국평균의 68.3%에서 2001년에는 전국 평균의 절반수준인 56.4%로 격감해 대구지역 제조업체들이 갈수록 영세해지면서 경쟁력도 잃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생산추이도 전국적으로 볼 때는 IMF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에만 6.5% 감소했을 뿐이었지만, 대구는 1992년(-5.8%), 1993년(-1.2%), 1995년(-6.7%), 1997년(-6.2%), 1998년(-18.2%), 2001년(-7.2%) 등 무려 여섯 해나 감소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대구수출의 전국비중 역시 1990년 5.3%에서 2001년 1.6%로 폭락했고, 1999년까지 전국평균 수준보다 높았던 대구의 '1인당 민간소비지출'도 2001년에는 전국평균의 98.6%로 떨어졌다.

경제가 침체를 거듭함에 따라 시민들의 소득도 줄어들어 1993년과 1994년 전국 평균을 크게 웃돌던 대구의 1인당 지방세 부담액은 1995년 전국평균의 98.8%로 떨어졌고, 2001년에는 전국평균의 겨우 78.9%에 불과했다.

대구 경제의 침체는 금융, 판매전력량, 자동차등록대수, 여행사업체수, 실업률 등 다른 지표에도 그대로 반영됐다.

1990년 각각 전국의 5.0% 및 5.2%, 5.7%를 차지했던 대구 금융권의 '수신(예금)' '여신(대출)' '점포수'는 2001년에 각각 4.2%, 4.4%, 5.1%로 떨어졌으며, 1990년~2002년 사이 대구의 실업률은 전국평균보다 최저 0.6%에서 최고 1.3%P 더 높은 상태를 유지했다.

전국적으로는 1990년에 비해 2002년에 판매전력량과 자동차등록대수, 여행사업체수가 각각 3배, 3.3배, 1.5배 증가했으나, 대구는 각각 2.6배, 2.9배, 1.2배 늘어나는데 그쳤다.

석민기자 sukmin@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