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도 들어올 수 없는
방 하나 있어야 한다.
맘껏 히죽거려도 새어나가지 않는
어떤 영혼도 기웃거리지 않는 방.
자유로움에 빠진다, 그들의 눈이
먹고 마시고 잠자는 혹은 은밀한
일상의 나를 따라 다닐 때
사랑과 영혼의 한 장면이 될 수 없다.
부시시 일어나 게으르게
-사는 일-마저 잊고 싶은 날이 있다.
정유정 '안식'부분
정 시인은 어느 날 갑자기 팔공산으로 거처를 옮겼다.
물 맑고 공기 좋은 곳으로. 우리는 가끔 계절이 바뀔 때마다 잠시 찾아가서 먼지를 떨구고 오는 그 곳에 살고 있으니 이 번잡한 곳에는 별로 나오고 싶지 않은 지 두문불출이다
이 시는 권태로운 일상에 완전히 빠져버리고 싶은 심정, 어떤 이유로든 잘되지 않는 흐트러짐을 의도적으로 실천해 보고 싶은 마음을 적었다.
이해가 간다.
서정윤(시인. 영신고 교사)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