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비자금 나누면 지구당별 4400여만원

최돈웅 의원이 SK로부터 받은 돈 100억원의 한나라당 유입 전모가 점점 드러나고 있다.

대선자금 모금과 전달, 분배를 둘러싸고 베일이 벗겨지면서 한나라당의 진실게임이 시작됐다는 관측이다.

최 의원은 지난해 11월12일부터 26일까지 자택인 서울 용산구 동부이촌동 모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서 김창근 SK 당시 그룹 구조조정본부장으로부터 5차례에 걸쳐 현금으로 20억원씩 모두 100억원을 받은 것으로 시인했다.

김 전 본부장은 최 의원에게 돈을 건넬 때마다 직접 승용차를 운전했으며 사전에 최 의원과 수차례 전화통화하면서 약속시간을 맞출 정도로 치밀함을 보였다는 후문이다.

또 받은 돈 액수를 최 의원이 확인한 뒤 김 전 본부장이 떠나면 근처에서 대기 중이던 당 재정국 직원들이 승합차에 돈을 실어 간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재정국 국장이던 이재현 한나라당 연수원 교수가 직접 관여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교수는 현재 출국금지 조치와 함께 26일 검찰의 소환조사 통보를 받은 상태. 당시 재정국은 이 교수와 함께 ㄱ 부국장, ㅂ 부장, ㅂ 부장 등 간부 4명과 여직원 2명 등 6명으로 구성됐으며 이들은 모두 지난 7월하순쯤 각각 다른 부서로 발령이 났었다. 이들은 최 의원의 SK 돈 모금에 직.간접 관여한 것이 분명해 줄소환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최 의원과 SK와의 접촉과정도 관심사다. 무슨 이유로 거액을 요구했으며 또 많은 기업 중 유독 SK를 택한 이유가 뭐냐는 것이다.

이에 대해 최 의원은 좬지난해 대선을 앞두고 당의 자금사정이 극도로 악화돼 당 후원회 주관으로 당 재정위원 및 중진 등이 참석한 대책회의를 열어 후원금 요청문제를 협의했다좭고 말했다.

왜 SK냐는 것은 현재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좬기업체별 후원금 모금담당과 모금 규모 등을 논의했다좭는 최 의원의 말에 비춰볼 때 많은 기업들이 당에 돈을 건넸을 가능성이 크고 따라서 SK는 이들 기업 중 하나라는 의혹이 짙다.

만약 이같은 추측이 사실이라면 후원금 모금 문제는 SK에 국한된 사안이 아니라 향후 전 기업의 문제로 비화될 공산도 적지 않다.

또다른 관심사는 당 재정국으로 흘러든 돈이 어떤 방식으로 배분됐느냐는 것이다. 최 의원은 100억원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쓰였는지 알 수 없다좭고 말했다. 따라서 시선이 김영일 당시 사무총장에게 쏠리고 있다.

김 전 총장은 그러나 좬최 의원은 이회창 전 총재의 동기동창이고 평소에도 '선배'라고 부르며 대접했는데 내가 돈심부름이나 했다는 게 상식적으로 얘기가 되느냐좭고 발끈했다.

당시 지도부의 함구에도 불구, 이 돈이 중앙당과 16개 시도지부에 '선거 실탄'으로 쓰여졌을 것이란 공산이 크다.

박주천 현 사무총장은 이와 관련, 100억원이 큰 돈이긴 하지만 227개 지구당으로 쪼개서 배분한다고 할 경우 지구당별로 4천400여만원 정도라면서 모두 현금이었다고 하니 작은 단위로 쪼개졌다면 일선에선 자금출처를 모른 채 사용했을 수도 있다좭고 말했다.

이와 함께 자금유입에 대한 당시 지도부의 인지여부도 논란의 대상이다. 뭉칫돈이 오갔다는 점에서 이회창 대선후보와 선거대책위원장이었던 서청원 전 대표, 나오연 당 후원회장에게 보고됐을 것이란 추측이 가능하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