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이 지난 27일 "옛날엔 1천억원 먹으면 들썩했고, 지금은 100억원만 해도 나라가 들썩한다.
5년 뒤엔 1억원만 돼도 나라가 흔들릴 것"이라고 말한 것처럼 정치자금의 투명도는 갈수록 개선되고 있다.
특히 대형 정경유착 비리사건이 터질 때마다 정치권의 청정도는 한 걸음씩 진전을 이뤘다
지역 정치권의 돈 흐름도 노 대통령의 언급처럼 줄어들었다는 것이 한결같은 이야기다.
과거 대통령까지 돈을 거둬들이던 때와는 하늘과 땅 차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쌍용그룹 회장인 김석원 전 의원은 노태우 전 대통령의 비자금 200억원을 관리하다 적발되기도 했다.
또 90년 대구 서갑보선과 93년 대구 동을보선에서는 국회의원들이 동별 책임자로 나섰고 전국에서 '온정(?)'이 답지해 '돈 풍년'을 이루기도 했다.
선거판에서 그런 '돈 벼락'을 다시 구경하지 못할 것이라고 할 정도였다.
당시 집권당의 핵심 인사들은 돈다발을 들고 다니며 배달하기에 바빴다는 이야기가 '전설'처럼 전해지고 있다.
물론 지역에서도 정치권으로 큰 뭉칫돈이 들어갔다는 소문은 그동안 많이 흘러 나왔다.
확인된 규모로는 김윤환 당시 신한국당 대표가 96년 15대 총선을 앞두고 ㄷ기업으로부터 30억원을 받았다는 케이스가 대표적이다.
그 다음으로는 92년 대선과 97년 대선에서 ㄷ기업과 ㅊ기업이 각각 민자당과 한나라당에 20억원을 전달했다는 소문이 뒤를 잇는다.
하지만 단위가 커질수록 개인이든 기업이든 '서울'과 직거래를 했다는 것이 정설이다.
직접 눈도장 찍기에 좋고 또 검은 돈의 경우 자주 일어나는 이른바 '배달사고'를 우려한 때문이다.
요즘은 수십업, 수백억이라는 돈은 지역에서는 해당되지 않는다.
서울에 국한된 이야기다.
특히 대구 경제를 이끌었다는 주택건설업체들이 퇴출되고 난 뒤에는 더욱 그렇다고 한다.
두 자리 숫자(10억원)는 좀처럼 구경하기 어려웠다는 설명이다.
평소에는 몇천만원짜리도 드물었다고 한다.
대통령이 다 된 것으로 알았다는 지난해 대선 직전에도 한나라당 대구시지부 후원회에는 두 자리 숫자를 채우지 못했다.
요즘 문제가 되고 있는 지난해 대선 때 이야기다.
대구.경북은 아성이라고 알려져 한나라당은 접전지역보다 실탄(?) 공급을 줄였다고 한다.
일설에는 충청권이나 수도권 등 접전 지역에 비해 지구당별로 5천만원 정도 적었다고 한다.
반면 민주당은 아무리 애를 써도 표가 나오지 않는 지역이니까 별로 대접을 안했다고 한다.
이래저래 '푸대접'을 받은 것이다.
이렇게 내려온 돈은 각 지구당별로 배분됐다.
정식 지구당 회계 통장으로 들어가는 돈도 물론 있지만 비공식 자금도 상당했다고 한다.
또 비공식 자금일수록 밑으로 돈이 내려가는 중간에 사라져 버리는 누수(漏水) 역시 더 많았다.
한편 요즘 들어서 지역에서는 정식 영수증 처리되는 후원금으로는 천만원짜리 구경하기도 어렵다는 것이 정당 회계 관계자들의 이야기다.
지난 24일 열린 한나라당 대구시지부 후원회에서도 천만원 이상 짜리는 아예 없었다는 후문이다.
그나마 단체장과 출마예상자들이 다수 후원 대열에 합류, 대선 패배 이후 빠듯했던 살림이 겨우 숨을 돌릴 수 있게 됐다고 한다.
심정적인 여당이라는 열린우리당은 아직 정식 후원금을 받을 수가 없어 돈에 관한 한 아쉬운 형편이다.
때문에 내달초 중앙당 창당 직후 제일 먼저 지구당 후원회를 조직, 급한 불을 끈다는 계획이다.
이동관기자 llddk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