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노사관계, 늘상 과격으로 치닫나

민주노총 소속 노동자와 경찰의 물리적 충돌을 보는 우리의 소회는 걱정과 안타까움의 교차다.

화염병이 등장하고 양쪽 100여명이 부상하는 서울 종로 일대의 모습은 아예 전쟁터를 방불케 하고 적개심만 거리에 나뒹구는 '한국적 노사관계'의 재연에 스스로의 부끄러움도 있다.

우리는 늘상 이래야 하는가. 말로만 선진 노사관계를 외칠 뿐 노동현장이나 사회 곳곳에서 보이는 건 '대립의 각을 세운 노사관계'를 보아야 하는 딱한 처지다.

노사가 함께가는, 상생(相生)의 관계는 노동 관련 세미나 장(場)정도에서 거론되긴 하되 현장의 실상은 지난 60, 70년대의 '격렬대립의 노사관계'와 별로 달라진게 없다고 본다.

정부와 민주노총의 태도는 현재 상황으로 보면 강경으로 치닫고 있다

민주노총은 정부를 상대로 전면전을 치를 태세다.

손해배상, 가압류 문제 등에 정부가 뒷짐만 지고 있다는 주장이다

정부도 과격시위는 결코 용납 할 수 없다고 했다.

노.정(勞.政)의 갈등, 빨리 풀어야 한다.

대화의 장(場)으로 앉기를 바란다.

민주노총과 정부의 관계는 갈수록 나빠지고 있다.

민주노총은 노사정위원회도 빠져 있다.

민주노총 등서 요구하고 있는 손해배상.가압류 등의 문제에 대한 적절한 의견 접근을 바란다.

물론 사용자측의 참여가 전제돼야 한다.

노조의 쟁의행위에 대응책인 손해배상소송등을 제한하는 듯한 이런 논의에 경영계의 참여는 쉽지는 않을 것이다.

정부의 조정역할을 기대한다.

우리는 노조의 인내를 바란다.

노동계가 주장하고 있는 경영의 투명성 확보 등은 국민들이 수긍하는 대목이다.

그러나 화염병 투척 등 과격한 시위는 국민들로부터 비난을 받을 수 있는 행동이 아닌가. 이성(理性)을 바탕에 깐 노동운동이면 노조 조직력 증대로 이어질 것은 분명한 일이다.

노조도 이젠 사회적인 책임을 심각하게 고민할 이유가 여기에도 있다

노조가 사회발전의 한 축으로 기능하기를 바란다.

사용자도 노조 실체 인정, 신뢰 확인 등의 순기능의 사고(思考)가 동시진행이라야 노동현장의 극한 대립 예방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