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에 구두쇠들만 모여 사는 구두쇠 마을이 있었어. 이 마을 사람들은 모두 어찌나 인색한지, 구두쇠 노릇으로 말하자면 세상에서 둘째 못 가는 사람들이었지.
이런 구두쇠 마을에 어떤 색시가 시집을 갔어. 시집간 첫날 가만히 보니까 집 천장에 웬 썩어빠진 굴비 한 마리가 디룽디룽 매달려 있거든. 보기도 싫고 냄새도 나는지라 냉큼 떼다가 거름더미에 내버렸어. 그 날 저녁이 돼서 온 식구 밥상이 들어오는데, 글쎄 밥상에 식구 수대로 밥만 한 그릇씩 달랑 놓여 있고 반찬이라고는 신 김치 쪼가리 하나 없는 거야. 온 식구가 둘러앉아 밥을 먹는데, 시아버지가 숟가락을 들고 천장을 딱 쳐다보더니 그만 기겁을 하네.
"얘야, 얘야. 며늘아가. 저 천장이 왜 허전하냐?"
"왜 그러십니까, 아버님?"
"천장에 매달아놓은 굴비가 안 보이기에 하는 소리다".
"아, 그 굴비 말씀입니까? 보기도 싫고 냄새도 나서 거름더미에 내다버렸습니다".
"뭐라고? 너 그 굴비가 어떤 굴비인지 알고서 버렸느냐? 그게 우리 식구 십 년 먹을 반찬이다.
밥 한 술 뜨고 굴비 한 번 쳐다보고, 또 한 술 뜨고 굴비 한 번 쳐다보고, 이렇게 오 년 동안 해 왔으니 앞으로 오 년은 더 쓸 것인데 그걸 버렸단 말이냐?"
"잘못했습니다.
그게 그런 건 줄 몰랐습니다".
"잘못이나마나 굴비가 없어졌으니 네가 굴비 노릇 대신 해야겠다.
이제부터 우리 식구 밥 한 술 뜰 때마다 네가 '굴비'라고 한 마디씩 해라".
이렇게 해서 며느리는 다른 식구들이 밥 한 술 뜰 때마다 '굴비'라고 한 마디씩 외쳐야 했어. 그런데 이게 참 예삿일이 아니야. 부끄럼을 타느라고 조그마한 소리로 '굴비' 하면 "에이, 너무 싱겁다.
좀더 크게 해라"하고, 그런다고 목청껏 '굴비' 하고 냅다 소리를 지르면 "아이쿠, 너무 짜다.
웬 살림이 그렇게 헤프냐?"하고 면박을 주고, 이러니 이게 어디 예삿일이야?
그렇게 살다가 하루는 딴 식구 다 밖에 나가고 며느리 혼자 집을 보는데 고등어 장수가 왔어. 며느리가 나가서 고등어를 고르는 척하고 이리 뒤적 저리 뒤적 만지기만 하다가 비린 물을 잔뜩 손에 묻혀 가지고 집에 들어왔지. 들어와서 그 손 씻은 물을 솥에 풀어 국을 끓여 놓으니, 꼴은 멀건 물이지마는 제법 고등어 냄새가 나거든. 저녁 때 식구들이 들어오기를 기다려 그 국을 내놓고 은근히 자랑을 했어.
"오늘 고등어 장수가 왔기에 고등어 고르는 척하고 손에다 비린 물을 잔뜩 묻혀 가지고 그 손 씻은 물로 국을 끓였으니 어서 드십시오".
그랬더니, 그 소리를 듣고 시아버지 시어머니가 칭찬을 하는 게 아니라 펄쩍 뛰며 나무라더라.
"아이쿠, 얘야. 네 손이 그렇게 커서야 어디 우리 집 살림이 남아나겠니? 그 손을 큰 두멍에다 씻었으면 우리 식구 일 년 내내 생선국을 먹을 텐데, 그 귀한 걸 한참에 먹어치우자고 솥에 씻었더냐?"
그 소문을 들은 동네 사람들은 한 술 더 떠서,
"그 집 며느리 살림 본새가 그렇게 헤프단 말이야? 그 손을 동네 우물에다 씻었으면 온 동네 사람들이 평생 동안 생선국을 먹을 텐데".하더라네. 허허허.
서정오(아동문학가)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