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과 규율을 생명으로 하는 국방부까지 이럴 수가 있는가. 6.25 당시 북한으로 끌려갔다가 지난 6월 탈북한 국군포로 전용일(72)씨가 국방부의 신원확인 소홀로 북송위기에 처했다는 소식은 차라리 믿고싶지 않은 현실이다.
현 정부가 국민들의 눈밖에 난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그러나 기강을 먹고사는 국방부마저 이렇게 흐트러져 있다는 것은 충격이요, 서글픔이다. 이런 자세로 어떻게 국가 위기상황의 첨병 역할을 할 수 있을지 걱정이 앞선다.
국방부는 "지난 9월 24일 전씨의 신원확인 요청을 받고 500명의 국군포로 생존자 명단을 확인한 뒤 무등재 사실을 통보했다"고 한다. 지난 18일 외교통상부가 다시 문의해오자 전사자 명단에서 전씨의 신원을 확인해 냈다는 설명이다.
500명의 생존자 명단만 뒤져본다는 게 말이 되는 일인가. 전사자 명부를 함께 확인하지 않은 것은 변명의 여지가 없는 직무유기다. 6.25납북인사가족협의회가 공개한 9만4천700명 모두를 검색해 보는 게 당연한 업무절차였다.
주 중국 대사관도 이번 과실에서 벗어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국방부의 무지에 가까운 업무실수가 있었더라도 국군포로 여부를 한번쯤 더 살펴보는 융통성이 있어야 했다.
우리는 이번 사건이 국방부나 중국 대사관 담당자의 순간적인 실수라고 보지 않는다. 국방부, 외교통상부, 더 나아가 현 정부 전체의 재북 국민에 대한 일반적 시각이라고 단정한다. 그렇게 말하지 않으면 도무지 설명이 안 되는 사건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국군포로나 납북자 처리에 대한 정부의 미온적 태도가 그것을 증명하고도 남는다. 송환협상 등 적극적인 해결 노력은 고사하고 어떻게 해서든 문제를 피해가려고 안달이었다.
정부의 이런 한심한 자세가 행정 말단까지 침투해 이번 같은 불상사를 낳은 것이다. 정부는 모든 외교노력을 기울여 전씨의 귀환을 서둘러야 한다. 또 그렇게 되리라 믿는다.
그와 함께 이번 같이 얼빠진 사건이 재발되지 않도록 잘못된 국가인식을 바로잡아줄 것을 촉구하고 싶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