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서야 아파트 분양시장이 정상화되고 있는 걸까? 아파트 분양시장이 두달째 실수요자 위주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종전에 심심찮게 볼 수 있었던 모델하우스 앞 '청약행렬 줄서기'는 이제 옛날 이야기가 돼 버렸다.
최근 들어 문을 여는 모델하우스를 대부분 둘러보고 있지만 줄서는 풍경은 찾아볼래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조용하다
분양시장이 실수요자 위주로 완전 바뀐 것. 종전에는 수성구에서는 모델하우스 문만 열면 당일 매진(?)으로 청약통장이 없는 실수요자들은 아예 청약접수조차 할 수 없었다.
그밖의 지역에서도 환금성이 높은 500가구 이상의 대단지 아파트의 경우 마찬가지로 불티나게 팔렸다.
하지만 10월2일자로 수성구, 11월18일자로 그밖의 대구시전역이 분양권전매가 전면 금지되는 주택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된 이후부터는 상황이 영 딴판이다.
수성구든, 대단지든 분양현장마다 잘 되면 초기계약률이 50%선 내외에 그치고 있다.
하지만 이처럼 분양시장을 위기로 몰아넣은 것는 주택업체들 스스로의 책임이 크다.
2, 3년 후를 내다보지 못하고 무작정 분양가를 들어올린 결과다.
지난 2000년에 평당 400만원대였던 33평형 아파트가격을 700만원에 가까운 수준으로 끌어올려 놓고는 "집을 잘 지었으니 사가라"고 외쳐보지만 60~70%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투기세력들이 빠져 나간 시장에서 선뜻 계약을 할 사람이 없는 상황을 맞고 있다.
3년여간 지속돼온 분양시장 축제(?)가 끝난 것이다.
아파트사업 시행사나 시공사는 이제 한 단지 사업으로 수십억원에서 많게는 수백억원의 수익 올리자는 소위 일확천금의 꿈에서 깨어나야 한다.
아파트 분양가격을 지역 수요자 눈높이에 맞는 선으로 낮춰야 한다.
그렇지 않고서는 실수요자들을 모을 수 없다.
이제 분양시장의 주도권은 주택업체가 아닌 수요자가 가졌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라는 것이다.
적정 분양가격은 주변의 기존아파트 시세와 맞먹거나 그 이하이어야 한다.
그래야 대체수요 등을 끌어들여 분양률을 높일 수 있다.
황재성(경제부) jsgold@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