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희상 청와대 비서실장이 30일 단식농성 중인 한나라당 최병렬 대표에게 노무현 대통령과의 회담을 주선하겠다고 밝혀 노-최 회동의 성사 여부가 주목된다.
문 실장의 제의에 대해 최 대표는 "대통령이 특검법 거부를 철회하지 않고 있는데 무슨 의미가 있겠느냐"며 거부의사를 분명히 했으나 박진 대변인은 "노 대통령과 대화 거부로 해석하지는 말아 달라"고 해 여운을 남겼다.
그러나 박 대변인의 말은 한나라당이 대화 거부로 일관하고 있다는 인상을 피하기 위한 것으로, 노-최 회동의 성사에 무게를 둔 것은 아니라는 것이 한나라당 내부의 일치된 관측이다.
최 대표가 특검거부 철회를 요구하며 6일째 단식농성 중이고, 특검법 재의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지만 한나라당의 전반적인 기류는 여전히 특검 거부 철회라는 점에서 노 대통령의 극적인 자세변화가 없는 한 회동에 응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청와대측도 마찬가지다.
특검법 문제, 재신임 문제, 국회정상화, 국정혁신 등에 대해 노 대통령이 분명하게 입장을 밝힌 만큼 회동을 통해 주고받을 게 없다는 것이 기본인식이다.
이 때문에 문실장의 말을 회동 제의로 보기 어렵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문 실장의 제의는 노-최 회동을 준비하기 위한 예비접촉이 아니라 최 대표에게 국회 정상화를 촉구하는데 비중이 실린 것으로, 구체적인 회동 제의로 보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그러나 국회의 장기공전에 따른 부담감을 고려할 때 회동 가능성이 전혀 없는 것만은 아니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현재 야3당 간에 활발히 논의가 이뤄지고 있는 특검법 재의가 성사되는 등 정국변화가 이뤄지고 청와대가 거부권 철회라는 한나라당의 요구를 받아들이지는 않더라도 유감을 표명하는 선에서 국회존중의 의사표시를 할 경우 회동이 성사될 수도 있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노 대통령이 이날 한나라당 당사를 직접 방문, 최 대표를 만나는 방안을 검토했다가 그럴 분위기가 아니라는 참모들의 건의에 따라 그만 둔 것도 회동 가능성의 단초로 보는 사람들이 많다.
최 대표의 완강한 입장을 알고 있는 상황에서 노 대통령이 아무런 선물없이 최 대표를 만나려고 하지는 않았을 것이란 추론이다.
이같은 정황으로 보아 노-최 회동의 가능성이 전혀 없다고 단언할 수는 없지만 정국파행의 원인과 해법의 수순에 대한 양측의 입장이 확연히 달라 빠른 시일내에 회담이 이뤄질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고령에 장기간의 단식에 따른 최 대표의 건강 문제도 조속한 회동을 어둡게 하는 요인이다.
정경훈기자 jgh0316@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