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도내 중북부지역에 '농업신도시'를 세우겠다는 발상은 농촌경제 회생에 대한 대안마련이 절실히 요구되고, 지역균형개발이 한창 논의되고 있는 시점에서 나왔다는 점에서 일단 긍정적인 면이 없지 않아 보인다.
경북도의 '신농업조성 계획안'에 따르면 중북부 시.군 교통요충지에 2004년부터 7년간 5천억원을 투입, 인구 3만명 규모의 신도시를 조성한다는 것이다.
도는 이 신도시에 약 50만평의 첨단농업단지와 농업기술원, 농업기반공사, 농산물품질관리원 등 농업관련 기관과 연구소 대학을 유치해 농업행정과 연구중심도시로 꾸민다는 생각이다.
산업클러스터 개념을 농업에 끌어들인 새로운 형태의 '농업클러스터' 계획은 몇가지 점에서 타당성과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우선 경북도민들의 숙원이었던 대구소재 농업기술원, 농산물원종장, 가축위생시험소 등 농업관련시설을 경북도내에로의 이전이 쉬워 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 국토균형개발법안에 따라 이전해야 할 농업진흥청 산하 농기계기술연구소, 국립종자연구소 등 농업관련 중앙부처의 경북도내 유치에 유리한 입지를 구축할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전국에서 처음으로 시도하는 사업이어서 중앙정부의 시범사업으로 지정받아 혜택이 늘어 날 것도 기대되며, 사업비도 대구시 북구 동호동에 있는 20만평 규모의 농업기술원을 매각해 자금의 상당 부분을 충당할 계획이어서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문제는 전혀 새로운 발상인데다, 대구 테크노폴리스 등 산업클러스터 개념이 농업클러스터 개념에 마찰 없이 그대로 적용 될 것인지 우려되는 측면이 없지 않다.
그래서 농업발전과 농촌경제 회생을 위한 사업이 자칫 대도시 인근에 소도시만 하나 더 만들어 농촌지역의 인구만 흡수하는 괴물로 전락하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
경북도가 내놓은 독자적인 농업회생 대책은 아직 입지도 선정되지 않았으며, 타당성 조사 용역단계에 있다.
경북도는 도민들의 의사를 결집, 계획을 무리없이 추진하기를 바란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