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에 어떤 사람이 아들 형제를 뒀는데, 큰아들만 귀여워하고 작은아들은 천덕꾸러기로 키웠어. 어려서부터 큰아들은 날마다 고운 옷 입혀서 글방에 보내 글공부만 시켰고, 작은아들은 날마다 험한 옷 입혀서 산에 보내 나무만 하게 했지. 그러니 자랄수록 큰아들은 말도 잘 하고 똑똑해서 남들이 다 혀를 내두르는데, 작은아들은 말도 잘 못하고 몸가짐도 둔해서 남들 웃음거리가 됐어.
형제 나이 여남은 살 먹었을 때 온 동네에 소문이 짜하게 나는데, 무슨 소문인고 하니 건넛마을 사는 정승이 천 냥 짜리 수수께끼 내기를 한다고 그러거든. 수수께끼를 내서 알아맞히면 돈 천 냥을 주고, 못 알아맞히면 천 냥을 받는다는 거지. 아버지가 그 소문을 듣고 가만히 생각해 보니, 큰아들이 똑똑하니 데리고 가서 수수께끼를 풀면 돈 천 냥을 벌 것 같단 말이야.
"얘야, 내일은 글공부 그만두고 건넛마을 정승 댁에 돈 천 냥 벌러 가자".
이튿날 큰아들 손을 잡고 정승 집에 갔지. 가 보니 수수께끼 풀러 왔다고 우선 밥 한 상씩 차려 주기에 잘 먹었어. 먹고 나니 정승이 나와서 수수께끼를 내는데,
"오다가 우리 집 문 앞에 큰 느티나무를 봤느냐?"
"예, 봤습니다".
"그 느티나무 잎이 모두 몇 개나 되느냐?"이러네. 이게 수수께끼야. 느티나무 잎이 몇 개나 되는지 세어 봤어야지. 아니, 세어 본다고 해도 그 많은 걸 언제 다 셀 거야? 애당초 아무도 못 풀 수수께끼지 뭐야. 그러니 제아무리 똑똑하다는 큰아들도 그만 꿀 먹은 벙어리가 돼버렸어.
"왜 대답이 없는고?"
"잘 모르겠습니다".
"그럼 돈 천 냥을 내놓아라".
수수께끼 맞혀서 돈 벌려고 왔지 돈 잃으려고 온 건 아니잖아. 돈 천 냥이 있을 턱이 없거든.
"돈을 가져오지 못했습니다".
"그러면 우리 집에서 삼 년 동안 머슴살이를 해야 하느니라".
하릴없이 큰아들을 정승 집 머슴으로 팔고 아버지 혼자 집에 왔어. 집에 와서 일이 이만저만하게 됐다고 얘길 했더니, 작은아들이 듣고 나서 내일은 제가 가겠다고 그러거든. 똑똑한 큰아들도 못 푼 수수께끼를 모자라는 작은아들이 어찌 풀겠나 싶었지마는, 행여나 하고 그 이튿날 작은아들을 데리고 또 장승 집에 갔어.
정승 집에 가서 밥 한 상 잘 얻어먹고 수수께끼를 푸는데, 정승이 내는 수수께끼가 어제하고 똑같아.
"우리 집 문 앞에 있는 큰 느티나무에 잎이 모두 몇 개나 되느냐?"
말이 떨어지기가 무섭게 작은아들이 되받기를,
"그러면 대감 머리카락은 모두 몇 올이나 되겠습니까?" 하거든. 머리카락이 몇 올이나 되는지 세어 봤어야지. 정승이 할 말이 없어 머뭇거리고 있으니까 작은아들 하는 말이,
"문 앞 느티나무는 제가 오늘 처음 본 것이지마는, 대감 머리카락은 대감께서 한평생 머리에 얹고 다니는 것이 아닙니까? 한평생 머리에 얹고 다니는 머리카락 수도 모르는데 오늘 처음 본 나뭇잎 수를 어찌 알겠습니까?"하니, 정승이 두 손 두 발 다 들었지. 이치에 딱 맞는 말인데 더 무슨 말을 해. 그래서 머슴 살던 형을 구해 가지고 집에 돌아왔대. 천덕꾸러기 동생이 똑똑한 형을 구했다는 이야기지. 서정오(아동문학가)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