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7일 미국산 쇠고기에 대해 공식적으로
수입금지 조치를 내렸다.
그러나 미 농무부가 이달말 대표단을 한국에 파견키로 해 쇠고기 수입금지를 둘
러싸고 양국간 외교마찰 등이 우려된다.
농림부 김달중(金達重) 축산국장은 이날 조치와 관련, "26일 미국 농무부의 발
표 내용이 애매해 주미 농무관 등을 통해 추가로 확인한 뒤 수입금지에 들어가는 것
"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 24일 광우병으로 의심되는 소가 발견됐다는 미국의 발표 직후부터
잠정 검역중단을 통해 사실상 미국산 쇠고기 수입을 금지해왔으나 이날부로 공식적
인 수입금지로 전환됐다.
검역중단은 잠정적인 조치로 해당 소가 광우병이 아닌 것으로 판정되면 검역절
차를 바로 진행시켜 수입금지를 풀 수 있다.
그러나 수입금지에 들어가면 수입위생조건 개정, 현장 조사 등 새로 8단계의 절
차를 밟아야 해 다시 수입하려면 상당한 시일이 소요된다.
김 국장은 또 미국측의 움직임에 대해 "미국 농무부이 오는 30일 면담을 요청하
면서 3명의 고위급 대표단을 파견하겠다는 뜻을 주한미대사관을 통해 전달해왔다"면
서 "그러나 특별히 수입금지를 풀어달라는 내용은 없었다"고 설명했다.
통고된 대표단 명단은 데이비드 헤그우드(David Hegwood) 미 농무장관 특별보좌
관, 척 램버트(Chuck Lambert) 농무부 차관보 등 3명이다.
그는 이와 관련, "올해 5월 캐나다 광우병 발생 때의 경험 등에 비춰 당장 수입
금지를 풀어달라는 요청은 없을 것"이라면서 "다만 자국 쇠고기의 광우병 발생은 한
마리밖에 없고 안전하다는 설명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한국은 미국산 쇠고기 및 부산물 수입 2∼3위권 국가로 미국 축산업계에
는 일본, 멕시코와 함께 놓칠수 없는 주요 시장이어서 이번 면담에서 어떤 형태로든
미국의 협조요청이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미국 농무부의 올 1∼10월 자국산 쇠고기 및 부산물 수출 통계에 따르면 일본(3
2만t, 11억7천만달러)이 가장 많고 멕시코(29만t, 7억6천만달러)에 이어 한국(20만t,
6억8천만달러)이 세번째였으며 캐나다(8만t, 2억8천만달러), 러시아(5만t, 4억6천만
달러)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김 국장은 이와 관련, "기본적인 정부 입장은 수입금지를 유지하는 것이다"고
말했다.(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