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와 드라마 등을 넘다 들며 활발하게 활동하
는 스타급 연예인들이 최근 들어 연극 무대로 활발하게 활동영역을 넓히고 있다.
지난해 11-12월 연극 「비언소」에 출연했던 영화배우 유승범과 4월 말 연극 「
해일」로 연극무대에 도전하는 영화배우 유지태, 지난 연말부터 공연되고 있는 코믹
뮤지컬「넌센스 잼보리」의 아나운서 출신 연기자 임성민 등이 대표적인 경우다.
이들 외에도 지난해 8월 미스코리아 출신 영화배우 권민중이 창작 뮤지컬 「나
에게 사랑은 없다」에 출연했고 탤런트 송채환은 연극 「서툰 사람들」에, 탤런트
김승현은 셰익스피어 작품을 현대화한 뮤지컬 「십이야」에 출연 중이다.
MBC 드라마 「대장금」으로 지난해 많은 사랑을 받은 탤런트 양미경도 16일부터
악극 「미워도 다시 한번」에 출연한다.
이렇게 스타급 연예인들의 연극 출연이 줄을 잇는 것은 연극을 통해 연기력도
쌓고 배우로서의 이미지도 새롭게 할 수 있다는 이점 때문.
또한, 관객들이 최근 들어 전통적인 '연극 연기'보다는 자연스러운 연기를 선호
하면서 차별화됐던 연극연기와 드라마·영화 연기의 벽이 허물어지고 있는 것도 이
들이 쉽게 연극을 선택하는 이유다.
게다가, 최고의 전성기를 맡고 있는 한국 영화계가 송강호, 최민식, 설경구, 조
재현 등 연기력을 갖춘 연극배우 출신 연기자들에 의해 주도되면서 이제 영화배우
는 '얼굴'이 아닌 '연기력'이라는 생각도 이들의 연극 출연을 부추기고 있다.
그러나 이런 경향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국립극단 이윤택 예술감독은 "배우들이 연극을 통해 연기력을 기르겠다는 생각
은 고무적인 일이지만 유명세에만 치우쳐 자칫 평균 이하의 작품이 올려지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대표적인 연극 기획사 '모아'의 남기웅 대표도 "연기 잘하는 배우라는 타이틀만
을 노리고 연극에 출연하는 것은 금물"이라며 "노력하지 않는 배우는 연극무대에서
도 성공할 수 없다"고 말했다.(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