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청와대 "민경찬 논란" 처리 고심

청와대가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친형인 건평(健平)씨의 처남 민경찬씨 처리문제를 두고 고심하고 있다.

지난 1월 민씨의 투자자금 모집 첩보를 입수한 것으로 알려진 청와대는 민씨가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650억원의 투자자금을 모았다고 밝히고 나서면서 논란이 확산되자 여론추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청와대는 유사수신행위금지법 등 위법사실이 드러나거나 의혹이 있을 경우 검찰에 수사를 의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지만 구체적인 입장을 정하지는 못했다.

청와대는 지난달 30일 민씨를 직접 대면조사한 금감원으로부터 조사결과를 보고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금감원이나 청와대는 조사결과에 대해 "아직까지 민씨가 투자약정서나 투자자를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는 등 구체적인 자료를 제출하지않아 위법여부를 확인하지 못했다" 며 "자세한 내용을 밝힐 수는 없다"고 말했다.

문재인(文在寅) 청와대 민정수석은 2일 "본인은 적법하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위법의 개연성이 있다고 보고 조사하고 있다"면서 "아직까지는 위법성이 드러난 것이 없다.

며칠만 지켜보자. 아무튼 강도높게 조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여론에 따라 수사강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는 뜻으로 들렸다.

문 수석은 그러나 "피해신고가 있는 것도 아니고 (조사가)본인의 진술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데 자료제출도 거부하는 등 본인이 잘 협조를 하지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민씨 펀드의 실체는 여전히 오리무중인 상태다.

정상적인 투자자금이었다면 민씨에게 자금을 맡긴 투자자들이 자금회수의 불안감 때문에라도 금감원 등에 문의가 빗발칠 텐데 금감원에는 아직까지 그런 전화가 한통도 없다는 것이다.

금감원이 일부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자금모금과정 등에 대한 조사를 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청와대와 금감원이 민씨문제에 대해 함구로 일관하자 청와대 주변에서는 정치권에서 '권력형비리'의혹으로 떠오르기 전에 투자자금을 되돌려주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청와대의 고민은 민씨가 650억원을 모금하는 과정에서 아직까지는 구체적인 불법성이 드러나지 않았지만 노 대통령의 사돈이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 아니냐면서 민씨 문제를 권력형비리의 전형으로 바라보고 있는 여론을 도외시할 수 없다는 점 때문이다.

청와대는 이미 지난 1월 관련 첩보를 입수하고 민씨에게 '주의하라'고 경고했지만 민씨는 "대통령 사돈이면 사돈이지, 정상적이고 합법적인 경제활동까지 하지말라는 말이냐"며 반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명수기자 diderot@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