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영국(申榮國) 의원과 신국환(辛國煥) 전 산업자원부 장관은 이번이 세번째 대결이다.
98년 4.2 보궐선거에서 1천292표 차이로 승패가 갈렸던 두 사람 간의 승부는 그후 2년 뒤인 2000년 총선에서 786표차로 그 격차가 줄어들었다.
그리고 4년 만에 다시 재대결을 벌이는 것이다.
한 치의 양보도 없는 백중세라는 주장이 지역의 중론이다.
탄핵정국의 영향이 그리 강하지 않은 것은 한나라당으로서는 안도할 대목이지만 과거 선거판을 뒤흔들었던 한나라당 일변도의 지지 성향도 눈에 띄게 약해졌다.
신 의원은 지금까지 대결 가운데 가장 어려운 싸움을 벌이고 있다는 분석이고 신 전 장관은 가장 해볼만한 싸움을 치를 것으로 보고 있다.
신 의원측에서는 주변 여건이 그리 좋은 편은 아니지만 "이변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한다.
깨끗하고 생색내지 않는 신 의원에 대한 재평가가 지역에서 한창 이뤄지고 있다고 한다.
대선자금 문제, 대형 비리사건 등 정치권의 도덕성과 청렴성이 어느 때보다 강조되는 시점에 신 의원이 모범 사례라는 것이다.
"깨끗함에서는 군계일학(群鷄一鶴)"이라고 장담한다.
신 전 장관의 경우 '삼 세번'을 외치며 승리를 확신하는 분위기다.
물론 한나라당 정서에다 현역 의원이라는 점에서 신 의원의 경쟁력을 과소평가하는 것은 아니다.
예천 표에서는 우위에 있지만 역대 선거에서 인구가 2만7천여명이 더 많은 문경에서 패했다는 점도 걸린다.
그러나 산자부 장관을 두 차례나 지냈다는 점에서 선거에서 두번 모두 졌지만 경력 면에서도 결코 뒤질 게 없다고 강조한다.
특히 소지역대결 구도가 강한 이 지역 선거에서 문경의 박인원(朴仁遠) 시장이 신 의원 편에 서 있지 않다는 점이 선거에 직접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칠지도 주목거리다.
여기에 12대와 14대에 국회의원을 지낸 반형식(潘亨植) 전 중소기업은행 이사장이 도전장을 내밀었다.
그는 새마을운동본부 문경 유치와 예천 경도대학의 전국 제일 농업연구소로 변신을 청사진으로 제시했다.
또한 정당명부식 1인2표제 실시를 근거로 좋아하는 정당에 한 표를 찍고 일할 수 있는 자신에게도 한 표를 달라고 호소하면 승산이 있다는 자체 판단이다.
한편 문경시의원 출마 경력이 있는 민주당 함대명(咸大明) 후보와 풍수지리전문가인 무소속의 임병기(林丙基) 후보도 경쟁 대열에 가세했다.
이동관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