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의 흥망성쇠는 그 지역의 '혁신역량'에 달렸다.
지역혁신은 변화와 개혁, 그리고 새로운 '틀'을 요구한다.
당연히 고통과 갈등이 수반될 것이다.
이를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바로 성패의 갈림길이다.
이런 관점에서 최근 대구시가 변화를 위해 내부적으로 몸부림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귀결이다.
연초부터 '기업하기 좋은 도시'를 천명해온 대구시는 지역 투자를 희망하는 기업인들에게 모든 인허가 사항을 원스톱으로 처리해주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특히 얼마 전에는 청사 내에 '공장설립 지원센터'를 설립했다.
공장지원센터는 시청 공무원과 한국산업단지공단의 전문 인력이 파견돼 투자상담에서부터 인.허가까지 모두를 대행해주는 곳이다.
행정규제 완화라는 '네거티브' 전략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공장 설립을 유도하겠다는 '포지티브' 전략으로의 대전환인 것이다.
이런 탈바꿈 덕분에 '대구시가 달라졌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당연히 보수적이고 권위적일 것이라는 선입견에 사로잡힌 기업인들은 대구시를 한번 방문한 후 이구동성으로 변화상(相)에 놀랐다고 한다.
심지어 '속이 터져' 대구를 떠난 지역출신 기업인들도 다시 돌아오겠고 하니 대구시의 이같은 노력은 일단 성공한 셈이다.
그러나 이런 변화는 첫걸음에 불과하다.
대구시는 더 바뀌어야 한다.
공직자의 단순 친절만으로 승부가 결정되는 시대는 지나갔다.
보다 전문적인 지식으로 기업이 원하는 '해답'을 찾아주어야 한다.
어려운 것을 되도록 해주는 것이 바로 '행정' 아닌가. 최근 최고경영자들이 간담회에서 "공무원들이 신기술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신뢰하지 않아 좌절감을 많이 느낀다"고 실토한 것을 보면 공직과 업계와의 괴리감은 여전함을 알 수 있다.
이제 대구시의 차세대 성장산업이 선정됐다.
그런 첨단 산업들이 빨리 뿌리내리려면 공직부터 전문성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공직자가 그 산업에 관심을 갖고있고 필요성과 당위성을 꿰뚫고있다면 지역혁신은 이미 성공한 것이나 다름없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