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일부후보 공보물 공약 '공'

'공약이 아예 없거나, 있다해도 두루뭉술하고…'.

유권자들의 올바른 판단을 돕기위해 만들어지는 선거 홍보물 중 상당수가 후보의 공약 내용이 없거나 있더라도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선거 관계자들은 이번 4.15 총선이 인물에 대한 선택이 아닌, '탄핵' '노인 홀대' 등 바람몰이성 선거로 바뀌면서 후보들이 자신의 능력과 비전을 내세우기보다는 바람몰이에 의존하려는 경향이 커진 때문이라고 보고있다.

대구의 총선 출마자들이 만든 책자형 소형 인쇄물의 경우 선거구의 현안에 대한 공약을 아예 찾아볼 수 없는 후보가 전체 출마 후보 63명중 모두 12명에 이르렀다.

달서구에 출마한 A 후보와 중.남구의 B 후보는 자신의 사회활동 경력만 나열해 놓았으며 북구의 C 후보와 달서구의 D 후보는 정보통신 강대국과 민족주권 회복 등의 내용만 제시했다.

또 북구의 후보 2명은 노인복지나 무상의료, 맞벌이 육아문제 해결 등 만을 공약으로 내걸은 것.

게다가 달서구의 A 후보와 동구의 B 후보, 달서구의 C 후보는 자신들의 출마의 변이나 활동 사진을 실은 채 지역 공약은 제대로 내걸지도 않았다.

이와 함께 현실성이 없는 '두루뭉술한 공약'을 내건 후보도 10여명이나 됐다.

동구 A후보는 특정지역 거론도 없이 대형 도서관 건립과 보육시설 확충을, 달서구 B후보와 C후보는 역세권 개발과 친환경 도시 건설, 교육환경 개선 등을, 남구 D후보는 기존사업을 그대로 재탕한 공약을 제시했다.

또 단체장이나 국회의원 출신들은 앞으로 할 일보다는 과거의 '공적'만을 과다하게 홍보한 사례가 많았다.

국회의원 출신인 A의원은 재임 기간 동안 선거구내에 건립된 각종 경로당과 복지시설 등의 사진을 두개 면에 실었으며 구청장 출신인 두명의 후보는 자신의 재임 기간 동안 받은 각종 상과 구정 성과 등을 내세웠다.

이에 대해 시민들은 "선거 홍보물을 보고 인물 위주로 선택하려해도 후보들 사이에 차별성이 없어 인쇄물 공해라는 생각만 들 정도"라며 "후보들이 정책개발은 뒷전으로 한 채 각종 바람에만 편승하려는 듯 해 실망스럽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상헌.이호준 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