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자 20여명이 중국에서 국경을 넘어
몽골로 탈출을 시도하다 이중 1명이 중국 국경수비대의 총격을 받아 사망하고 나머
지 탈북자들은 체포 또는 행방불명됐다는 주장이 제기돼 파문이 예상된다.
두리하나선교회는 지난 2일 오전 1시께 중국 네이멍구(內蒙古) 자치구의 북부
국경도시인 만저우리(滿洲里) 부근에서 몽골로 탈출을 시도하던 탈북자 24명 중 김
모(31.여)씨 등 17명이 국경수비대에 체포돼 현재 만저우리 국경수비대에 수감 중이
라고 13일 주장했다.
두리하나측은 또 모두 남성인 나머지 7명 중 1명은 국경수비대가 발사한 총에
맞아 현장에서 즉사하고 박모(31.남)씨 등 6명은 소재가 파악되지 않고 있지만 몽골
로 탈출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두리하나측은 국경수비대의 총격으로 남성 1명이 사망했다는 사실은 다른 루트
를 통해서도 확인했다고 밝혔다.
두리하나측은 중국의 소식통이 최근 이 같은 내용을 전해왔다며 체포된 탈북자
17명은 여자 9명, 남자 8명으로 이 중에는 임신 6개월의 임산부와 2살짜리 영아, 노
약자 등도 포함돼 있다고 주장했다.
두리하나는 체포된 탈북자들은 강제북송을 우려해 제3국행을 요구하며 단식 중
이고 중국 당국도 이번 사건과 관련된 브로커들에 대한 체포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
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두리하나는 또 만저우리에서는 이 밖에도 지난 1일 탈북자 30명이 체포되는 등
지난 달 21일부터 약 2주 동안 총 9건에 60여명의 탈북자들이 체포됐다고 덧붙였다.
두리하나는 지난 달 24일에도 "지린성(吉林)성 투먼(圖們)의 안산(安山) 수용소
에 억류 중인 탈북자 100여명이 강제 북송에 반대하며 단식 등 집단적 저항을 벌이
고 있다"고 주장했으나 중국 당국은 이를 부인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외교부는 대변인 명의의 보도자료를 내고 "4월초 18명의 탈북자들이
중국 내몽고에서 체포됐고, 그 과정에서 부상자와 사망자가 있다는 익명의 제보를
입수한 후 주중대사관을 통해 중국 당국을 접촉, 사실관계를 조속히 확인해달라고
요청한 적이 있다"며 "그 제보내용이 사실일 경우 체포된 탈북자들을 자유의사에 따
라 인도적으로 처리하고 강제북송하지 말 것을 중국 당국에 요청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