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매일춘추-대구사랑 문화사랑

몇 년 전에 새 세기, 새 천년을 맞아 뉴 밀레니엄이라고 해서 부산을 떤 적이 있다.

100년 뒤에는 인류가 150세 이상 살고 1천년 뒤에는 환경오염으로 멸망한다는 등의 말들이 많았다.

그럼 우리는 한 세기, 한 천년을 보내면서 무엇을 남기고 가는가. 500여 년 전에도 향토 대구를 예찬하고 정리한 분이 있었다.

조선조 대문장가 서거정(1420∼1488) 선생은 대구의 명승 10곳을 골라 '대구10경'이란 시문을 남긴 바 있다.

금호강, 건들바위, 거북바위, 금학루, 남소, 도동향림, 동화사, 대노원, 팔공산, 침산이 그 곳이다.

오늘의 대구 즉 '신대구10경'을 노래할 이 시대의 문호는 없는가. 금호강, 도동향림, 팔공산, 동화사 등의 경승지는 500년을 훌쩍 넘겼어도 그 아름다움은 여전하고 수성유원지, 앞산야경, 달성, 갓바위, 두류공원, 동대구로 설경, 성당 못 분수 등은 새 명승지로서 손색없을 것이다.

일본인 장수의 귀화와 관련있는 녹동서원과 명나라 장수의 귀화와 관련 있는 모화당도 글로벌 지구촌시대에 비추어 볼 때 활용가치가 매우 높은 사적이다

지금은 문화재가 아니지만 후세들에게는 문화재가 될 예비 문화재들도 잘 가꾸어 야 한다.

대구문화예술회관과 대구오페라하우스는 20세기 대구문화수준을 보여주는 자랑스런 문화공간이고 중앙도서관과 구 대구사범대 본관도 세월의 두께가 쌓일수록 상징성이 더욱 빛날 것이다.

20세기 조국은 격변이었다.

국권을 침탈 당했고 두 동강 난 상처는 아직도 계속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그 반쪽을 가지고 세계 10위권 대국으로 성장했다.

앞으로 최소한 100년의 조국을 모습을 내다보면서 살아가자.

통일된 조국을 경영하고 8천만 한민족을 아우를 수 있는 문화역량을 키워야 한다.

오늘 하찮게 여겨지는 것에도 의미를 찾고 소중히 가꾸면 소중한 문화유산이 된다.

그것이 나라사랑 대구사랑 문화사랑의 첫 걸음이다.

남석모(대구오페라하우스 공연기획과장)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