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탄핵방송, '권력에 물대기'였나

방송의 공정성(公正性)이 또 도마위에 올랐다.

이 편파방송에 대한 논란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나 언론학회가 공식적으로 내린 결론이어서 큰 충격으로 다가온다.

한국언론학회가 10일 밝힌 '대통령 탄핵 관련 TV방송 내용 분석' 보고서는 지난 3월12일 국회의 대통령 탄핵안 가결후 방송사의 탄핵관련 보도 등이 편향적 보도였다고 결론을 지었다.

'살아있는 권력'에 '물대기식'보도였다는 분석도 나올 수있는 대목이다.

방송사들이 공정성 일탈(逸脫), 편향보도라는 지적과 관련해 방송사들은 억지라며 대응해왔다.

지상파 방송사들의 어처구니 없는 행태가 전두환 대통령 시절의 '땡전 뉴스'를 연상케 하는 언론의 굴절이 아닌가.

언론학회의 보고서를 구체적으로 보면 지상파방송3사의 정규 뉴스에서 탄핵반대진영의 인터뷰는 찬성진영 인터뷰보다 무려 4배가 많았고 시사교양프로그램의 앵커멘트에서도 탄핵반대는 27건인데 비해 찬성 멘트는 민영방송인 SBS에서만 단 한건 있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공영방송의 왜곡보도가 더욱 심했다는 결론 도달이다.

묻고자 한다.

방송위원회의 존재이유가 있는 것인가. 이번 언론학회의 보고서는 방송위원회의 의뢰에 의해 나온 것이라고 한다.

일종의 직무유기다.

자신의 심의기능을 언론학회에 떠넘길 판이면 버젓이 간판만 달고 할일도 못하는 조직, 명맥을 유지할 이유가 어디에 있는지 참으로 딱하다.

누가 뭐래도 정권(政權)은 유한하다.

한국언론학회가 "아무리 느슨한 기준을 적용해도 공정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는 결론을 내릴동안 방송위원회는 의뢰역할로 만족하고 낮잠만 잤나.

지금 언론개혁 목소리가 높다.

잘못된 부분 고치는 것 누가 반대하지 않는다.

개혁의 대상이 신문쪽에만 제한돼 있다고 봐야한다.

균형보도 아닌 왜곡한 방송은 제쳐 놓고 신문의 비판기능만 탓하는 꼴이다.

"스스로 만든 공정성 규범의 토대마저 무너뜨리는 일방적 파괴적 편향성"이라는 방송, 국민들이 지켜보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