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일씨 피랍사건 이후 이라크 추가파병 중단 주장이 나오고 있는 것은 결코 바람직한 일이 아니다.
본의든 아니든 그것은 납치범들의 요구를 정당화해주는 결과가 될 수 있다.
정치적 목적을 위해 무고한 민간인들을 볼모로 하는 테러행위는 어떤 이유로도 용납돼서 안 된다.
인질극 이후 나라가 또 다시 파병 찬반 회오리에 휘말린다면 뒤에서 웃고 있을 집단은 누구이겠는가.
어제 참여연대 등 시민사회단체들로 구성된 '이라크 파병반대 비상국민행동'은 추가파병 중단을 촉구했다.
이들은 이날 저녁 광화문에서 김선일씨의 무사귀환과 파병철회를 위한 촛불집회를 가졌으며, 30일 대규모 파병반대 집회를 계획하고 있다.
민노당은 추가파병 중단은 물론이고 이미 파병된 서희·제마부대의 철군까지 주장했다.
여당인 열린우리당 일부 의원들도 파병 재검토 결의안을 통해 논란을 계속 이어나갈 태세다.
우리가 안타까운 것은 이 나라가 언제까지 파병 문제에 이렇게 목을 매야 하느냐에 있다.
과장하자면 지난해 9월 이후 근 10개월 동안 하루도 조용한 날이 없었다.
정부가 국익을 위해 어렵게 파병결정을 하고, 국회가 여야 합의로 파병동의안을 통과시켰으면 그것을 따라주는 것이 민주적 도리다.
파병을 반대하는 소수의견은 파병군의 성격과 활동 형태 등을 통해 충분히 수렴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수의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는 것은 독선이요, 횡포다.
파병 반대론도 일리가 있다.
그러나 똑같은 주장을 10개월 동안 듣고 있어야 하는 국민들의 억눌린 심사를 더 이상 외면해서는 안 된다.
김씨의 우발적 피랍사태가 새로 파병논의를 일으킬 명분이 될 수는 없다.
국익이 걸린 파병과 내전지역에서의 인질극은 그 연관성을 높게 평가하기 어렵다.
차분히 김씨의 생환을 빌어주는 것이 도리지 이를 기화로 정치적 주장을 되풀이한다는 것은 남의 불행을 이용하려 든다는 오해를 자초할 수 있다.
정부는 파병을 조속히 실현하여 더 이상의 소모적 국론 분열이 없도록 해주기 바란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