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부터인가 메뚜기가 사라진 지 오래 되었고 반딧불이 보기가 좀처럼 어렵다.
특히 최근들어 동식물의 수가 여러 종에 걸쳐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등 멸종위기가 가속화되고 있는 것은 환경오염으로 인해 서식지가 파괴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와중에도 다행스러운 것은 몇년 전부터 불어오는 농약을 쓰지 않는 친환경 농법이다.
이 친환경 농법으로 매케하고 고약한 농약냄새가 없어지고 논두렁에는 지렁이가 꿈틀거리고 땅강아지가 기어다니며 메뚜기가 뛰고 미꾸라지, 우렁이를 잡아먹기 위해 황새가 온종일 논 가운데 앉아 있는 등 사라졌던 예전의 모습이 다시 눈에 띈다.
이런 현상은 농약을 쓰지 않아 샛강이 살고, 살아있는 샛강에서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물이 흐르기 때문이다.
요즘에는 논두렁이나 샛강 주변에서 그 흔하게 보이던 농약병을 찾아보기 어렵다.
이는 조금씩이나마 생태계가 살아나 생명체가 숨쉬고 있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우리는 자연 속에서 생명을 가진 모든 것들이 보호받고 살아갈 수 있도록 아끼고 배려할 줄 아는 자세가 필요하다.
자연을 보호해야 하는 이유는 이 세상 수많은 생명들이 주인인 공존의 땅, 그곳에서 우리 인간이 자연에 의존하여 함께 살아가기 때문이다.
김양운(대구시 대명2동)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24일 취임 후 첫 대구 방문…"재도약 길, 시민 목소리 듣는다"
李대통령, 24일 대구서 타운홀미팅…"다시 도약하는 길 모색"
김현지, 국감 첫날 폰 2번 바꿨다…李 의혹때마다 교체 [영상]
"이재명 싱가포르 비자금 1조" 전한길 주장에 박지원 "보수 대통령들은 천문학적 비자금, DJ·盧·文·李는 없어"
냉부해 논란 탓?…李 대통령 지지율 52.2%로 또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