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에서 조류독감으로 사망한 여성이 딸로부
터 바이러스에 감염됐을 가능성이 제기됨에 따라 조류독감이 사람들간에 쉽게 전염
될 수 있는 세계적인 유행병이 될 지 모른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독감 전문가들은 현재로서는 태국의 모녀 감염 사건이 세계적인 유행병의 시초
라기보다는 한 지역에 격리된 단일 사건일 가능성이 높으며 우려할만하지만 경보를
울릴 정도는 아니라고 말하고 있다.
통상 사람들은 조류독감에 감염된 가금류와 접촉함으로써 조류독감에 걸렸지 다
른 사람을 통해 조류독감에 걸리지는 않았다. 그러나 태국에서 지난 20일 조류독감
으로 사망한 26세 여성 프라니 통찬은 조류독감 의심증세를 보이다 사망한 11세 딸
을 간호하다가 병에 감염, 숨진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함께 프라니의 언니 등 다른
2명이 병원에서 조류독감 유사증세로 입원중이다.
세계보건기구(WHO) 관리들은 태국의 모녀 감염 사건이 밀접한 환경에 처한 가족
에 국한된 사건으로 보인다고 강조하면서도 조류독감 바이러스인 H5N1이 인체 독감
으로 변이를 일으켰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WHO는 태국의 모녀 감염 사건을 조사하고 있으며, 이번 주말까지 문제의 조류독
감 바이러스에 대한 분석작업을 통해 돌연변이 여부를 밝혀낼 계획이다.
조류독감 바이러스가 인체 독감으로 변이를 일으키면 한 번에 수십만명의 희생
자를 낼 수 있는 엄청난 재앙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지난 1997년 홍콩에서처럼 일부
지역에서 소수 희생자만 낼 뿐 그냥 끝날 수도 있다.
WHO 태국 대표 대행인 구마라 라이 박사는 아주 가까운 가족간 접촉을 통한 감
염인 만큼 보건상 경보를 울려야 할 정도는 아니라고 본다면서 "심각한 보건상 위협
을 제기할 정도는 아니기 때문에 공포에 빠질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조류독감이 사람간에 전염될 수 있는 가능성이 대두된 만큼 이번
상황을 우려스럽게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WHO 독감 전문가인 클라우스 슈토르 박사는 "우리가 태국에서 보고 있는 사태는
전혀 예상치 않았던 상황은 아니며, 오래 가지 않고 별 힘이 없는 인간 대 인간 감
염 케이스일 수도 있다"면서 "그러나 세계적인 재앙을 일으킬 수 있는 치명적 독감
의 시초일 수도 있는 만큼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제네바.뉴욕 AFP.AP=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