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역사속 오늘-조선어연구회 조직

국어 연구와 보급'선전 목적으로 조직된 학술단체 '조선어연구회'가 1921년 12월 3일 조직됐다. 선구적 한글학자인 주시경의 영향을 받은 임경재, 최두선, 권덕규, 장지영 등 15, 16명은 이날 휘문의숙에 모여 국어의 정확한 법리 연구를 목적으로 학회를 창립했다. 1931년 '조선어학회'로 이름을 고쳤다가 1949년 9월 25일 '한글학회'로 정해져 오늘에 이른다.

주시경의 학문과 정신을 이은 이들은 역사상 최초의 국어연구학회 활동으로 학문연구뿐만 아니라 말과 글을 통해 민족정신을 고취하고자 했다. 연구회는 1926년, 음력 9월 29일을 '가갸날'로 정했는데 지금의 한글날에 해당한다. 1927년 2월부터는 기관지 '한글'을 간행하여 한글 보급과 선전에 힘썼다. 1931년부터 한글강습을 시작해 민족의식 고취에 크게 이바지했고, 1933년 10월 29일 한글날 기념식에서 한글맞춤법통일안을 발표했다. 1936년에는 조선어 표준말 모음을 발표했고, 1940년에는 외래어 표기법을 발표했다.

1942년 10월 '조선어학회사건'으로 회원 33명이 반일 독립운동 혐의로 검거돼 광복 때까지 학회활동이 완전히 중단됐다. 이러한 인고의 과정을 통해 꿋꿋이 지켜낸 우리말글이지만 이른바 '국제화시대'에 영어의 숱한 도전을 이겨내야만 하는 어려운 현실에 처해 있다.

▲1967년 세계 최초 심장이식수술 성공 ▲1970년 북한군 박성국 소좌, MIG-15기 몰고 귀순 ▲1998년 새 B형 간염 치료제 '헤파가드(Hepaguard)' 개발 정식 보고.

조문호기자 news119@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