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실질 국민총소득 증가율 올들어 최저…3·4분기 3.5%

GDP디플레이터 상승률 3년여만에 최고

소비 부진과 수출 둔화에 따른 생산 활동 위축에

다가 교역조건마저 악화되면서 지난 3.4분기 실질 국민총소득(GNI) 증가율이 3.5%

에 그치면서 올들어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국민경제 전체의 종합물가지수를 의미하는 GDP(국내총생산) 디플레이터 상승률

은 3년여만에 최고치인 4.5%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8일 발표한 '3.4분기 국민소득 잠정 추계결과'에 따르면 물가 등을

감안한 국민소득의 실질 구매력을 나타내는 실질 GNI는 지난 3.4분기중 166조1천271

억원으로 2.4분기보다 575억원이 줄면서 작년 동기에 비해 3.5% 증가하는데 그쳤다.

내수 부진과 수출 둔화 등에 따라 올들어 5%대를 유지해오던 실질 국내총생산(G

DP) 증가율이 3.4분기 4.6%로 둔화된데다가 교역조건 악화로 인한 실질무역 손실이

5조2천323억원에 달한데 따른 것이다.

올들어 실질 GNI의 작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1.4분기 4.5%, 2.4분기 4.6%를 각

각 나타냈다.

명목 GNI는 197조566억원으로 작년 3.4분기보다 9.3% 증가했다.

이에 따라 GDP디플레이터는 4.5%가 상승, 지난 2001년 2.4분기의 5.1%이후 최고

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부문별 디플레이터는 내수가 작년 동기보다 5.5%, 수출은 8.

1%, 수입은 10.0%가 각각 높아졌다.

한상교 한국은행 국민소득팀 과장은 "원화 가치의 절상에도 불구하고 원유를 비

롯한 원자재 가격의 상승으로 물가(디플레이터) 부담이 커졌다"며 "결국 물가 부담

으로 인해 실제 체감하는 소득 증가는 명목상으로 늘어난 국민총소득(GNI)에 못 미

치게 됐다"고 말했다.

실질 GNI 증가율은 지난 2002년 4.4분기부터 8분기 연속 실질GDP 성장률을 밑돌

고 있다.

총저축률은 소비 심리 위축에 따른 영향으로 35.2%를 기록, 2.4분기 35.8%에 이

어 35%대를 이어갔다.

3.4분기 지표로 총저축률이 35%대에 달한 것은 지난 99년 3.4분기 35.5%에 이어

5년만에 처음이다.

2000년 3.4분기 총저축률은 33.9%였고 2001년 31.4%, 2002년 30.9%, 2003년 32.

2% 등을 각각 기록했다.

올 3.4분기 저축률이 이처럼 높은 것은 소비지출증가율(4.8%)이 가처분소득 증

가율(9.7%)을 크게 하회한데 따른 것으로, 경기부진속에 경제주체들이 소득증가분만

큼 지출을 늘리지 않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비해 총자본형성액을 총가처분소득으로 나눈 국내 총투자율은 29.7%로 작

년 동기보다 1.1%포인트 상승하는데 그쳤으며 국외투자율은 4.7%로 2.1%포인트 높아

졌다.

특히 총저축액을 총자본형성액으로 나눈 수치인 투자재원자립도는 3.4분기중 11

8.6%로 작년 동기의 112.6%보다 6.0%포인트 높아져 투자심리 위축으로 소비하고 남

은 소득이 투자로 연결되지 않는 최근 현상을 반영했다.(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