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상을 수상했으며 20세기 물리학의 '마지막 거인' 가운데 한 사람으로 불린 한스 베터 전(前) 미국 코널대 교수가 98세를 일기로 사망했다고 코널대가 7일 발표했다.
코널대는 베터 전 교수가 뉴욕주 이타카의 자택에서 6일 밤 '조용히' 숨을 거뒀다고 밝혔다.
독일에서 출생한 베터 전 교수는 1933년 나치의 박해를 피해 미국으로 망명했고 2년 뒤 코널대 교수가 됐다.
2차대전 중에는 원자폭탄 개발계획인 '맨해튼 프로젝트'의 책임자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베터 전 교수는 1938년 태양과 같은 항성이 수소를 헬륨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에너지와 빛을 방출하는 과정을 설명한 논문을 발표해 천체물리학의 토대를 닦은 것으로 평가된다.
이 논문은 거의 30년 뒤인 1967년 그에게 노벨 물리학상을 안겨줬다.
베터 전 교수는 이 밖에도 300편 이상의 논문을 저술했고 그 중 다수는 핵무기 등에 관련된 민감한 내용이어서 당초에는 비밀로 분류됐다.
인류 역사상 최초의 핵무기 개발을 주도했던 베터 전 교수는 그러나 말년에는 핵무기 금지운동에 앞장섰다.
1990년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핵무기의 잠재적인 위험에 대해 알고 있었지만 현실은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끔찍했다"고 밝힌 베터 전 교수는 이후 대기 중 핵실험금지와 탄도탄 요격 미사일 규제운동에 앞장섰다.
(뉴욕연합)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