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백서의 주적 표현 변경과 관련, 대학교수와 정부출연 연구소 연구원 등 지식인 10명 중 7명은 한국군의 대적관이 바뀌지 않았다는 사실을 미국 측에 공식 설명해야 한다고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주적 표현을 변경한 배경으로 남북 대화와 화해·협력 진전을 꼽은 지식인도 59%에 달했다.
이는 국방부 산하 한국국방연구원(KIDA)이 지난 2월 초 대학교수, 정부출연 연구소 연구원, 안보관련 연구소 연구원 등 106명을 대상으로 한 인터넷 설문조사 결과에서 드러났다
11일 KIDA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중 70%는 2004년 국방백서에서 '주적인 북한은' 이라는 표현을 다른 것으로 표기했을 뿐 한국군의 대적관은 바뀌지 않았다는 사실을 미국 측에 공식으로 통보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는 주적 표현 변경이 한미 안보동맹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어서는 안 된다는 인식에 따른 것으로 풀이됐다.
2004년 국방백서는 '주적인 북한'이라는 기존 주적 표현을 '북한의 재래식 군사력, 대량살상무기, 군사력의 전방배치 등 직접적 군사위협'으로 바꾸었다.
남측의 주적 표현 변경에 대해 북한이 상응한 변화를 보여야 한다는 응답도 81%에 달했으며, 이는 주적 표현 변경을 대북 정책에 적극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는 의사 표시인 것으로 KIDA는 풀이했다.
이 밖에 남북관계에 있어 교류·협력의 중요성을 인식(43%)하면서도 51%는 교류·협력 측면과 군사적 대치라는 이중성을 고려해야 한다(51%)고 답했다.
(연합)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