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까운 동산을 찾았더니 벌써 지는 꽃들이 많다. 며칠 전만 하더라도 화사한 자태를 뽐내던 벚꽃은 무심코 스치는 바람을 감당하지 못해 가는 숨결로 떨며 공중에 흩어진다. 참으로 옛 사람들이 말하던 공화(空華)이다.
좀 늦게 피어난 자목련도 따뜻해진 햇볕의 무게를 감당하지 못하고 처량한 이의 눈물처럼 애처로이 흰 속살 보이며 마른 땅 바닥에 제 몸을 처박고 있다. 긴 겨울에 비해 너무 짧은 영화이다 싶어 한참이나 바위 위에 앉아서 감정을 추슬렀다.
인생 또한 그러하지 않은가. 우리네 인생 또한 저 지는 꽃들과 전혀 다를 바가 없거늘…. 그렇다면 우리는 이 찰나의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할까. 인생을 잘 살려면, 첫째 현실을 자각하며 직시해야 한다.
나는 지금 어디에 있으며 내 주소지는 어디인가를 먼저 자각할 필요가 있다. 만일 그런 의식 없이 살아간다면 그것은 '자기인생 직무유기'다. 예를 들어 가족의 구성원으로 있는 이상 그 어떤 경우에도 자기 위치와 역할을 잊어서는 안 된다.
남편은 남편대로 아내는 아내대로 자식은 자식대로 자기 나름의 할 일을 다하며 그 마땅한 자리에 있어줘야 한다. 삶이 현실 직시와 자각에 기인하지 않으면 전도몽상(顚倒夢想) 즉 뒤집힌 꿈 같은 세상이 되고 만다. 자신을 있는 그대로 여실(如實)하게 드러내어 관조하는 삶은 인생 자체가 언제나 상큼하고 신선하다.
둘째 순간순간을 그 목적으로 삼아야 한다. 인생은 한순간도 자기 것이 아님이 없다. 생명유지의 단초인 숨 쉬는 일부터 그렇다. 숨을 쉬는 데는 가타부타 이유가 있을 수 없다. 그저 숨을 쉴 뿐이지 다른 목적은 전제되지 않는다. 숨 쉬는 자체가 큰 의미이며 재미인 것이다.
직장생활 또한 그렇다. 직장생활을 돈을 벌기 위함만을 목적으로 삼는다면 그 사람은 돈의 노예이지 스스로 자기 인생의 주인공은 못된다. 주인공은 돈 따위에 신경 쓰기보다는 하는 일 자체에 신성성을 부여한다.
현재적 삶, 당념(當念)의 고귀함이 직업관에 살아있지 않으면 억지로 하는 작위(作爲)가 되어 일에 끌려다니는 추한 모습이 되고 만다. 인생을 잘 사는 사람은 순간의 업무에 자기 자신을 완전히 일치시킨다. 일과 내가 하나 되는 삶은 그 자체가 목적이므로 무슨 일을 하든지 그 재미가 한량없이 크다.
셋째는 인연법을 소중히 여겨야 한다. 현재 나의 좌표는 시간과 공간이라는 날줄과 씨줄의 만남이 이루어낸 필연의 조화이며 결과이다. 그러므로 세상에 놓인 그 어떤 것도 나 아닌 것이 없으며 무가치한 것은 없다.
아무도 알아주지 않는 산야에 핀 들꽃 한 송이라도 일단 나의 오감(五感)에 잡히는 순간부터 그것은 나의 꽃이요. 나의 분신이다. 그러므로 인연법을 소중히 생각하는 사람은 절대 경거망동하거나 배은망덕할 수 없다.
그것이 수직적이든 평면적이든 자신을 둘러싼 모든 인연들은 귀찮은 대상이 아니라 나를 나 되도록 하고 나를 성장시켜주는 장엄물이다. 내 삶의 진정한 가치는 나와 인연된 사람들, 이웃들과 함께할 때 더욱 빛나며 풍요로울 수 있다.
넷째 원(願)을 세워야 한다. 원이 없는 사람은 의지 없는 바윗덩어리, 나무토막과 같다. 산송장일 뿐이다. 원은 인생의 목표이며 희망이라고 볼 수 있다. 원과 욕심은 그 개념이 다르다. 불교에서는 그 목표와 희망이 개인적'소아적일 때 욕심이라 하고, 전체적'우주적일 때 원이라고 한다.
원이 있는 사람은 그 인생의 빛깔이 다르다. 매사 긍정적이며 활기에 차 있다. 그리고 그 마음씀도 따뜻하며 늘 이웃들의 칭찬을 받는다. '전체가 행복할 때 나도 행복하다'는 대아적(大我的) 인생관과 이웃이 아프니 나도 아프고 이웃이 기쁘니 나도 기쁜 불이(不二)의 소신은 곧 사랑이며 자비이다. 세상의 빛이 되고 귀감이 되는 사람은 그 삶의 스케일이 커서 자기 집착과 욕심을 떠나 있다. 인생을 잘 살려면 원을 세우고 실천해야 한다.
우학 영남불교대학'관음사 회주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