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들의 교육비가 갈수록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이 자체조사와 각 기관의 부분통계를 모아 3일 펴낸 '2004 청소년 통계집'에 따르면 늘어난 교육비에 따라 지난해 일반계 고등학교 졸업자의 10명 중 9명은 대학에 진학했지만, 대학생 5명 중 1명은 취업 등에 대비하기 위해 휴학중이다.
졸업이나 중퇴 후 첫 일자리에 취업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도 3년째 평균 1년선으로 취업까지는 오래 걸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청소년 3명 중 1명은 일을 하고 있으며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는 청소년은 38.1% 선이었다.
청소년의 흡연율은 줄어드는 반면, 가출은 늘었고 신문보는 청소년과 청소년 TV 시청시간은 적어진 반면, 문화나 사회참여활동을 하는 청소년은 늘었다.
한편 청소년 인구는 40년 전의 절반 수준으로 줄어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청소년자녀 1인당 월평균 교육비 28만7천 원
지난해 자녀 1인당 월평균 교육비 지출액은 28만7천 원으로 2000년의 22만1천 원에 비해 29.9%가 늘어났다.
교육비는 취학전에는 15만8천 원, 초등학생은 18만6천 원, 중학생은 23만9천 원, 고등학생은 34만8천 원, 대학생 이상은 57만 3천 원으로 자녀가 크면 클수록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교육비 지출액을 내역별로 보면 학원, 보충수업비 등 사교육에 드는 돈이 전체 교육비의 47.0%인 13만5천으로 가장 많았다.
◇대학은 들어가는데…취업은 먼 길
지난해 일반계 고등학교 졸업생의 89.3%는 대학에 진학했으며, 실업계 고교의 대학진학률도 늘어나 졸업생의 67.9%가 대학에 진학했다.
대학생 중 휴학생의 비율은 지난해 20.1%로 5명 중 1명은 휴학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실업 등의 영향으로 대학교의 지난 10년간 휴학생은 1994년 14.9%에서 20.1%로 갈수록 느는 추세다.
지난해 15∼29세 청년층이 졸업이나 중퇴 후 첫 일자리에 취업할 때까지 평균 소요시간은 11개월로 2003년 12개월, 2002년 11개월 등 3년째 비슷한 시간을 유지했다.
◇ 3명 중 1명꼴 '노동'
지난해 15∼24세 청소년 중 경제활동인구는 34.7%로 220만 명에 달했다
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자는 198만 1천 명으로 이들 중 78.9%는 사회간접자본 및 기타서비스업에, 20.2%는 광공업에, 0.9%는 농림어업에 각각 종사했다.
아르바이트를 경험한 청소년들은 주로 실업계 고등학생이나 대안학교에 다니거나 쉼터에 거주하는 시설청소년들이었으며, 이들이 경험해본 아르바이트 업종은 전단지배포, 스티커 부착이 29.4%로 가장 많았고 일반음식점(21.7%), 패스트푸드점(10.7%), 주유원(4.8%)이 뒤를 이었다.
◇청소년 인구 갈수록 줄 듯
청소년 통계집에 포함된 2001년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18세 이하 인구가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올해 24.7%로 40년 전의 1965년의 51.3%에 비해 절반 수준으로 낮아진 것으로 추정됐다.
(연합)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