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가 최대 1천억원 규모의 국가연구소(NRL 2.0) 사업에서 1차 평가를 통과하고도 최종 탈락한 것으로 확인됐다. 최종 선정된 4곳 중 3곳이 서울 상위권 대학에 집중되면서 지역 대학이 배제됐다는 비판이 나온다.
교육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국가연구소 사업은 세계적인 수준의 연구를 선도할 '국가대표급' 대학 부설 이공계 연구소를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0여 개 대학에 10년간 1천억원씩을 투입하며, 올해 연구소 4곳을 선정한 데 이어 내년과 내후년에도 각각 4곳씩 뽑는다.
27일 매일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대구에선 지역거점국립대인 경북대가 공학·의약학 분야 연구소 2곳을 지원해 지난 8월 1차 평가를 통과했다. 전국에서 지원한 53곳 연구소 가운데 13곳만이 1차 관문을 넘었다.
경북대는 극한환경 공학기술과 난치성 질환 연구를 앞세워 도전장을 내밀었으나 최종 선정된 4개 대학 명단에는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교육부와 과기부가 아직 공식 발표를 하지 않았지만, 최종 선정 대학은 ▷연세대(생명·의료 분야) ▷고려대(생명·AI) ▷이화여대(화학·소재) ▷포항공과대(바이오·반도체) 등 4곳으로 파악됐다.
이 중 3곳이 서울 상위권 대학인데다, 포항공과대 역시 지역에 있지만 특수 연구중심 대학이라는 점에서 비수도권 대학들이 소외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이번 사업의 취지가 인구 감소와 해외 인재 유출로 흔들리는 연구 생태계를 복원하겠다는 것인 만큼, 인구 감소에 더욱 취약한 지역 대학이 충분히 반영됐어야 했다는 아쉬움도 남는다.
교육부 관계자는 지역 대학이 배제됐다는 지적에 대해 "내년에는 평가 방식을 개선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교육부는 내년도 국가연구소 사업을 유형1(전국대학)과 유형2(서울·경기·인천 소재 대학을 제외한 지역 대학)로 구분해 각 유형에서 2개 내외의 대학을 선정할 예정이다. 신청 기간은 다음 달 16일부터 내년 1월 8일까지다.
경북대는 이번엔 탈락의 고배를 마셨으나, 내년 사업에 다시 도전하겠다는 방침이다.
경북대 관계자는 "어떤 연구소로 신청할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고 내부에서 논의 중"이라며 "내년 사업에는 최종 선정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경주 지진 이력에 발목?…핵융합 연구시설 전남 나주로
李대통령 "가슴이 벅차오른다"…누리호 발사 성공 축하
李대통령 "무인기·대북방송 바보짓…北 쫓아가서라도 말붙여야"
대구 찾은 김경수 "내년 지선, 정부 국정 동력 확보에 중요한 선거"
김민석 총리 "아동수당 지급, 만13세까지 점진적 확대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