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전경옥입니다-풍수지탄(風樹之嘆)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지난해 영국문화협회가 비영어권 102개 국가의 국민 4만여명에게 70개의 영어 단어를 제시한뒤 좋아하는 단어를 고르도록 했더니 1순위가 '어머니(mother)'로 나타났다.

어머니 또는 아버지를 떠올리면 가슴이 찌르르해지고 눈물이 핑글 돈다는 사람들이 많다. 자식문제로 속 끓일 때, 세상사로 등이 휠 때 제일 먼저 생각나는 존재가 부모다. 어떤 말도 비틀어 듣지 않고, 누가 뭐래도 '내 편'이 되어 준다.

TV 속 한 베트남인 아버지가 "소의 마지막 뼈를 팔아서라도 자식 공부를 시키겠다"고 말한다. 아마 우리네 부모들은 한 수 더 떠 "내 마지막 뼈를 팔아서라도'''"라고 말할 것이다. 식구들이 맛없어 하는 반찬만 골라 먹고, 자식 입에 밥 들어가는 걸 타는 논에 물들어가는 것보다 더 기뻐하는 그들, 곤히 잠든 자식들 이마를 짚고 기도하며, 대문간에 서서 사방을 둘러보며 자식을 기다리는 '의문지망(依門之望)'의 마음'''. 부모는 '누구도 이를 수 없는 바다가슴'(김후란 시 '어머니' 중)을 지녔다. '그냥 마당 한 쪽에 서있는 커다란 나무처럼 있는 듯 없는 듯 자식의 전 인생을 굽어보면서 그늘을 만들고 때로는 바람을 막아주고 맑은 산소를 만들어 주면서 서있다'(김이연 수필 '유채꽃은 내년에도 피겠지요' 중).

저 세상의 부모를 단 1분만이라도 다시 볼 수 있다면 죽어도 좋겠노라고 어떤 이가 말했다. 부모가 자식을 가슴에 묻듯 부모를 가슴에 묻고 사는 자식들도 많다. '굽은 나무가 선산지킨다'고, 떠들썩하게 성공한 자식보다 좀 못난 자식이 오히려 효성스러운 건 또 무슨 이치일까.

효도에도 때가 있는 법임을 옛사람들로부터 배운다. '나무가 고요히 있고자 하나 바람이 그치질 않고, 자식이 봉양하고자 하나 부모가 기다리지 않는다(樹欲靜而風不止, 子欲養而親不待)'. 공자의 제자들 중 이 '풍수지탄(風樹之嘆)'을 듣고 부모봉양을 위해 귀향한 자가 열에 세 명은 됐다 한다.

가장 아름다운 여자는 '어머니', 가장 아름다운 남자는 '아버지'이다. 그러기에 가슴 깊이 새겨야 할 한마디는 바로 이것 '내일이면 늦으리!'.

논설위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