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盧武鉉) 대통령과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은 내달 11일 오전(미국 현지시간 10일 낮) 워싱턴에서 정상회담을 갖기로 했다고서울의 외교소식통이 24일 전했다.
노 대통령은 오는 9일 저녁 출국,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가진 후 곧바로 귀국길에 오를 예정이어서 이번 방미는 1박3일 일정의 초미니 실무방문 성격을 띨 것으로 전해졌다.
노 대통령과 부시 대통령의 정상회담은 지난해 11월 칠레 산티아고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후 7개월만이며, 참여정부 출범 들어서는 4번째이다. 양 정상은 정상회담 외에 그동안 11차례 전화통화를 가진 바 있다.
북한의 6자회담 불참 1년을 앞둔 시점에서 열리는 이번 정상회담에서는 국제사회 현안인 북핵문제를 비롯해 한미동맹 재조정 문제 등 양국 현안에 대한 심도있는의견교환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외교소식통은 회담 의제와 관련, "한미동맹문제는 항상 중요하나, 역시 최대 현안은 북핵문제"라며 "이들 문제가 큰 틀에서 논의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소식통은 이어 "북핵문제는 지금 6자회담 재개 여부가 남아있는 만큼, 북한의 6 자회담 복귀 여부가 정상회담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고 말해 최근 뉴욕북.미 접촉 이후 6자회담 복귀 여부에 대한 북측 답변이 정상회담 결과에 영향을 미칠 것임을 시사했다.
노 대통령의 방미일정과 관련, 그는 "이번 방미는 정상회담이 목적이며 다른 행사일정은 거의 없다"며 "의전 등은 생략하고 아주 짧게 이뤄지는 업무적 성격의 방문일정으로 실무 정상외교의 새 패턴이 만들어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실무회담인만큼 양 정상이 회담과 식사를 함께 하며 현안에 대해 충분하게 심도있는 대화를 나눌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부시 대통령은 오는 11월 부산 APEC 정상회의때 방한할 예정이었으나, 양 정상이 가능하면 그 이전에 만나 북핵문제 등 현안을 깊숙이 논의할 필요가 있다는데 공감해 이번에 정상회담이 조기 개최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소식통은 "최근 한.중, 한.러 정상회담이 있었고, 또 한일정상회담도 개최될예정이어서 현재 전개되고 있는 북핵문제에 대해 정상차원의 의견조율이 계속 이뤄지는 것으로 보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 양국은 세부 일정을 최종 확정한 뒤 이번주중으로 정상회담 개최를 공식발표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