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동문서답, 破鏡의 후유증을 걱정함

이제 연정(聯政)은 접자. 끝난 얘기다. 판사 앞에서 이별을 확인하듯, 노 대통령과 박근혜 대표 두 분은 어제 '이별을 목적으로' 만난 사람 같았다. 대연정'선거구제 개편'민생 문제 어느 것 하나 번지수가 맞는 것이 없었다. 1년 반 만의 '첫 흥행'은 실패했다. "이제 모든 국정의 책임은 청와대와 열린우리당이 져라. 야당은 비판과 대안(代案)으로 제 몫을 다하고 다음 선거에서 각기 심판을 받아라"-이것이 국민의 요구이자 명령이라고 본란은 판단한다.

국민은 말꼬리 물고 늘어지는 '재치 문답'식 대화의 '비생산성'을 새삼 확인하고 실망했다. 대연정에 대한 노 대통령의 구애를 박 대표는 차갑게 거절했다. 선거구제 개편 제안은 그것으로 결코 지역주의를 해소할 수 없다는 '일언지하'로 되돌아왔다. 돌아올 답을 뻔히 알면서 제안한 것은 성의를 다한 후의 수순 밟기인가?

정치 문제는 그렇다 치더라도 경제와 민생에 대한 진단과 처방마저 서로가 완전히 동문서답이니 이러고서 어떻게 동거(同居) 생활이 떠올랐을까. 노 대통령은 "그럼 (지역 구도 타파 위해) 대통령은 뭐 했느냐"고 박 대표가 묻자 "열린우리당의 창당은 호남당 벗어나기 위한 것"이라고 응수했다. 박 대표는 또 물었어야 했다. "그래 놓고 급하면 DJ에게 매달리느냐"고.

탑(塔) 중에서도 다시 쌓기 가장 어려운 게 '무너진 사랑탑'이다. 그래서 그 후유증을 걱정한다. 정기국회의 여야 충돌이 불 보듯 보인다. 열린우리당이 청창당수(靑唱黨隨), 선거구제 바꾸자고 들고 나오면 국회는 또 민생 뒷전의 전투장이 된다. 국민은 승부수에 질려 있다. 대통령제에서의 '책임 정치'란 국민에게서 권력을 받은 쪽의 권리이자 의무다. "그럼 네가 해 봐라" 말할 수 있는 쪽은 국민이지 대통령이 아닌 것이다. 그러므로 이젠 민생만을 말하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