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 5학년 아이가 수학에 통 흥미를 보이지 않습니다. 시험이 닥치면 수학 공부를 한다고는 하는데 진도가 잘 안 나가서 어려워하는 것 같습니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답 : 다른 과목도 마찬가지겠지만 특히 수학은 어릴 때 얼마나 수학을 공부할 수 있는 환경에 노출시키느냐에 따라 차이가 크게 납니다. 학부모들은 대개 초등학교 3, 4학년 정도까지는 자녀를 직접 가르치지만 감당하기 조금만 어려워지면 학원에 보내거나 과외를 붙입니다. 또 자녀가 물어오면 "엄마는 모르니까 알아서 해라"며 회피하기 일쑤입니다. 이런 식으로는 수학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없습니다. 어렵더라도 부모님이 자녀의 수학 공부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 함께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부모님들이 자녀를 직접 가르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개념과 원리를 깨닫게 하는데 많은 공을 들여야 한다는 점입니다. 수학 교과서를 보면 도입 부분이 적기 때문에 개념과 원리에 대한 이해를 채 하기도 전에 계산으로 넘어가 버립니다. 수학이 따분하고 기계적인 과목으로 여겨지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부모님이 이런 부분을 도와준다면 수학을 새롭게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가령 분수의 개념을 이해시키기 위해서는 "다섯 개의 빵을 여섯 명이 먹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하는 식으로 질문을 던지는 것이 좋습니다. 막무가내로 분자와 분모를 가르치려 들어서는 결코 성과를 기대할 수 없습니다. 교구를 활용해 이해와 관심을 높이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저학년 때는 학부모의 의도적인 격려와 칭찬이 필요합니다. 좀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칭찬하고 등을 두드려줘야 합니다. 어릴 때 수학을 잘 못한다는 것은 단지 늦다는 것과 같은 말입니다. 늦은 부분을 끌어당겨 주면 누구나 잘 할 수 있습니다. 3학년 수학이 어렵다고 하면 2학년 문제부터 풀게 해 자신감을 심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모의 실망과 짜증 속에 학원으로 떠밀리는 아이보다 부모의 격려 아래 스스로 한 걸음 한 걸음 나가는 아이가 결국에는 수학의 강자가 됩니다.
김우일(김샘학원 이사장)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