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용(中庸)'은 '참은 하늘의 길이요, 참을 행함은 사람의 길'(誠者天之道也 誠之者人之道也)이라고 가르친다. 시간'공간'인간 등 '삼간(三間)'이 만나 주체가 인간이 될 때 참을 행하게 될 수 있다는 진리를 일깨우는 경우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적기를 택해 옥토에다 사람의 정성을 쏟는 '삼간'삼합의 이치'인 셈이다. 다만 인간은 '사람 사이(人間)'라는 뜻이 말해 주듯이, 사람이 다른 사람과의 원활한 관계(인화)에서 그 역할이 빛난다는 이야기다.
◇ 이같이 사람이 바로 희망이지만, 농촌 사람들은 끊임없이 떠나고 있다. '공동화'라는 말은 '텅 비는 현상'을 말하고, 가운데 구멍이 난 도넛 같다고 해서 '도넛 현상'으로도 일컬어진다. 중심부에 상주하는 사람이 적어 밤에 텅 비는 대도시와 달리 농촌은 도넛 현상뿐 아니라 '사람 부재 현상'까지 심각한 형편이다. 더구나 젊은이들은 거의 떠나버리고 없어 '돌잔치보다 초상집이 훨씬 많다'는 자학적인 말마저 화제에서 멀어지는 실정이다.
◇ 봉화군이 인구를 늘리기 위해 벌이고 있는 '농촌 빈집 별장화' 사업이 호응을 얻고 있는 모양이다. 올해 2월부터 빈집을 사거나 빌려 석 달 이상 살 경우 수리비로 가구당 최고 250만 원까지 지원한 결과 귀농(歸農) 상담도 90건에 이른다고 한다. 그 중 6가구는 이미 입주했으며, 7가구는 이주를 위해 빈집을 수리 중이라니 반가운 일이다.
◇ 더구나 이들 13가구는 대부분이 서울과 수도권에서 사업을 하다 실패해 귀농 결심을 한 경우로 알려진다. 봉화 지역에는 현재 도시 이주와 이농 등에 따른 빈집이 900여 채나 되며, 이 가운데 160여 채는 조금만 수리하면 쓸 수 있는 집들이라고 한다. 아무튼 이 사업은 공동화돼 가는 농촌에 다소나마 활력을 불어넣고, 도시에서 생계가 어려워진 서민들에게 새 삶의 터전을 제공할 수 있어 고무적이다.
◇ 농촌 살리기는 포기할 수 없는 우리의 '생명 산업' '식량 주권' 부활의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어떤 방법으로든 살려야 한다. '고향 공동체' 키우기도 그 한 방법이 될 수 있으며, 출향 인사들의 몫도 보태져야만 할 것이다. 그러지 않고서는 '명절에만 한두 번 얼굴 내밀다 죽으면 돌아오는 곳'이 그대로 황폐화될는지 모른다. 아무튼 봉화군에서 시동이 걸린 농촌 빈집 채우기 바람이 널리 퍼져 나가기를 기대해본다.
이태수 논설주간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