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은 사과나무를 흔드느라 말이 없고
사과나무는 사과를 꼭 쥐고 말이 없다
바람 잔 뒤
가지에 사과 하나 겨우 매단 사과나무
어리둥절 서 있다
우듬지 걸려 있던 진회색의 슬픔
없다!
그 자리가
가만히 비어 있다
이경림(1947~) '태풍, 뒤'
올해도 몇 차례의 태풍이 한반도를 휩쓸고 갔습니다. 태풍 소식이 들리면 농민들의 가슴엔 수심이 가득합니다. 이 작품에서 바람은 꼭 과수원의 연약한 열매를 떨어뜨리기 위해 존재하는 것만 같습니다. 바람이 지나간 다음 사과나무는 오직 사과 한 알을 꼭 쥐고 있네요. 그 광경이 너무도 처연합니다. 살아가는 일은 이렇게 풍선처럼 팽팽히 부풀어오른 긴장의 연속과정이라고 말합니다. 생존경쟁의 격렬한 틈바구니에서 결국 우리에게 남아있는 것은 무엇일까요? 빈 손뿐일 것입니다. 마치 뼈만 앙상히 남아있는 고기를 매달고 항구로 쓸쓸히 돌아온 소설 '바다와 노인'의 주인공 할아버지처럼…….
이동순(시인)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