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아름다운 우리 낱말' 펴낸 박재열 교수

'물여우, 뒤웅박, 영등날, 도리질, 작달비, 하늬, 강철이, 생게망게하다, 가뭇없다, 곤줄박이, 우두망찰하다, 잠포록하다, 자배기, 고깝다, 오쟁이...'.

경북대 박재열 교수(시인)가 우리말의 감춰진 아름다움을 찾아 나서는 도보여행 형식의 독특한 저술을 '아름다운 우리 낱말'(도서출판 작가콜로퀴엄)이란 책으로 출간했다.

박 교수는 이 책을 "깊은 계곡에서 아직 모습을 드러내지 않은 처녀지 같은 그런 낱말들의 모음집"이라고 했다. 모아서 엮은 낱말들이 쓰임새가 흔하지는 않은 것도 있지만, 하나의 시가 될 만큼 질박하면서도 맑은 여운을 가진 것들이 많다는 것이다.

'아름다운 우리 낱말'은 또한 문제집이기도 하다. 문제를 푸는 재미와 함께 자신의 우리 낱말 실력을 한 번 검증해볼만 하다. 박 교수는 이 책에서 우리 주변에서 자주 보는 사물의 이름과 동작을 나타내는 아름다운 순 우리 낱말을 우선적으로 채택했다.

낱말을 주제별로 나눠서 한 과(課)가 되도록 배려하고, 그 중 가장 멋진 낱말을 골라 해당 과의 제목으로 썼다. 대체로 표준말을 선택했지만, 가끔은 맛깔스런 사투리 낱말이나 옛말도 별표(*)를 붙여 쓰고 있다.

박 교수는 "우리말은 영어 등 서구어에 비해 대단히 감각적,관능적,구체적이어서 대부분 시어로 쓰기에도 좋지만 실제는 사장되어 있는 것이 많다"며 "어휘력 향상과 격조있는 글을 구사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작가나 문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은 물론 초.중.고생들이 즐겁게 읽고 풀어볼 수 있는 내용은 담은 '아름다운 우리 낱말'은 일반인판과 청소년판 두 가지로 펴낸 것도 한 특징이다. 청소년판에는 성에 관한 낱말을 가급적 제외했다.

조향래기자 bulsajo@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