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연방기금 금리가 2일 오전(한국시간) 연 4.00%로 0.25% 인상됨에 따라 한·미 양국간 정책금리 차이가 0.50%포인트 차이로 벌어졌다. 한·미 정책금리 차이가 다시 확대되면서 콜금리 인상에 대한 압력도 더욱 높아졌다.
◇정책금리 차이 다시 확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지난달 금리 인상을 단행, 0.50%포인트에 달하던 한·미 양국간 정책금리 차이를 0.25%포인트로 줄여놓았으나 미국이 다시 정책금리를 인상함으로써 격차는 다시 벌어졌다.
정책금리가 0.50%포인트 벌어진다고 해서 미국 시장으로 자본유출이 본격화된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러나 정책금리 격차가 실세금리의 격차를 부추기고 나아가 환율과 자본이동에 따른 비용 등을 감안해 국내보다 미국 등 해외자본시장에서의 주식·채권투자 등이 유리하다는 판단이 설 경우 자본이탈은 순식간에 벌어질 수 있다.
문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이번 금리인상과 함께 발표한 성명에서 '신중한 속도'의 금리인상 행보를 계속할 방침임을 시사한 점이다. 앨런 그린스펀 FRB의장이 물러나기 전까지 남은 2차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매번 금리를 인상, 정책금리를 연 4.50%까지 올려놓겠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렇게 되면 한국과의 정책금리 격차는 최대 1.00%포인트까지 벌어질 수도 있다.
◇금리 인상론 다시 부상
내외금리차 확대는 결국 우리나라 콜금리 인상압박으로 돌아올 수밖에 없다. 미국의 금리가 지속적으로 인상되는 가운데 한국이 정책금리를 연 3.50%로 계속 묶어둔다는 것은 자본이탈에 대한 우려를 계속 증폭시킬 것으로 보인다. 삼성경제연구소 김정우 수석연구원은 "최근 한·미간 시장금리 차이가 1.00%포인트 미만으로 접어들면서 주식시장에서 외국인들의 순매도가 시작됐다"며 "시장금리 차이를 일정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선 정책금리도 미국과 보조를 맞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우리나라의 초저금리 기조가 지속되면서 지난해 내국인의 해외증권투자 순유출 규모가 75억 달러에 달하면서 전년보다 배 이상으로 급증한데다 올 들어서도 이러한 급증세가 이어지고 있는 점은 유의할 대목이다.
그러나 한은은 여전히 신중한 입장이다. 한은 관계자는 "미국의 정책금리 인상은 우리 콜금리를 조정하는데 고려해야 할 여러 변수 가운데 한가지일 뿐"이라면서 지나친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재정경제부와 일부 민간경제연구소도 금리 인상이 경기 회복기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를 우려하는 목소리를 계속 높이고 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