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수창공원 부지 1만2천 평 "공원 일부 개발이 타당"

한국감정원 용역 결과

대구시 중구 수창공원 부지(옛 대구연초제조창) 개발을 두고 시민·환경단체와 대구시, KT&G 간 갈등이 빚어지고 있는 가운데 KT&G에서 제안한 개발방식에 의해서 부지를 개발하는 것이 전체를 공원으로 조성하는 방안보다 경제적 이득이 더 크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KT&G로부터 용역을 받은 한국감정원은 최근 '수창공원 변경 및 주변개발 타당성 조사-KT&G 대구부지 개발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연구'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시민단체들은 1999년 공원부지로 고시된 만큼 부지 1만2천여 평을 공원으로 조성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는 데 반해 대구시와 KT&G는 전체 부지 중 7천500여 평을 공원부지에서 해제, KT&G가 57층짜리 주상복합 건물을 짓고 나머지에는 공원과 노인복지시설을 만든 뒤 대구시에 기부채납하는 양해각서를 지난 7월 체결한 바 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옛 연초제조창 부지 모두를 공원으로만 개발할 경우 대구시민이 공원조성으로 인해 얻는 편익은 약 442억~568억 원으로 추정된다는 것. 반면 KT&G에서 제안한 것처럼 부지를 개발할 경우에는 주상복합시설 개발에 따른 부가가치 증가, 공원조성으로 인한 시민편익, 교통혼잡비용 등을 고려한 부지개발의 경제적 가치는 약 917억~954억 원 정도로 추산됐다.

이에 따라 경제적 가치 측면에서 본다면 KT&G에서 제안한 개발방식에 의해서 부지를 개발하는 것이 전체를 공원으로 조성하는 방안보다 386억~475억 원 정도 더 큰 경제적 이득을 보는 것으로 추정돼 주상복합시설로 개발하는 방안이 보다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한국감정원은 밝혔다.

한편 한국감정원으로부터 의뢰를 받아 한국갤럽이 지난달 대구시민(700명)을 상대로 설문조사한 결과 옛 연초제조창 부지 개발사업 진행시 투기, 교통체증이 발생할 것이란 부정적 의견(30.1%)보다 지역 발전에 도움이 된다는 긍정적 의견(69.0%)이 높게 나타났다. 대구시와 KT&G의 양해각서에 따른 개발 방식에 대해 적절하다는 응답(49.8%)이 부적절하다는 응답(33.9%)보다 많았다.

이대현기자 sky@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