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이 쌀 비준안 국회 통과 이후 후속대책 마련에 앞다퉈 나섰다. 비준안 처리에 상심한 농민을 위로하고 기술개발을 통해 우리 쌀의 경쟁력을 제고하자는 취지이다. 하지만 비준안 처리를 육탄저지했던 민주노동당과 민주당은 이를 "가증스런 행동"이라고 몰아세웠다.
쌀 비준안 처리를 당론으로 정했던 열린우리당은 23일 비준안 국회 통과 직후 미리 준비한 논평을 통해 "쌀 협상 비준 동의안의 국회 통과에 따른 후속 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열린우리당 정세균 의장은 쌀 협상 비준 동의안이 본회의를 통과한 뒤 열린 확대당정회의에서 "최선은 아니지만 현실적인 상황을 감안해 비준안을 통과시킬 수밖에 없었다"면서 "앞으로 후속 대책을 충실히 마련하는 것이 정부와 여당의 임무"라고 강조했다.
여당은 또 정부와 연계해 금명간 국회-정부-농민단체 등이 참석하는 '3자 협의 기구'를 구성하는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비준안 본회의 처리에 동조한 한나라당도 "쌀 협상 비준안 통과와 관련해 참담해 할 농민들을 생각하면 비통함을 금할 길이 없지만, 국민들이 나라를 걱정하는 마음으로 이해해 줄 것으로 믿는다"며 위로했다.
이계진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국민들도 냉혹한 국제경제질서 속에서 우리 농업이 경쟁력을 얻고 농민들을 살리기 위해서는 우리 쌀을 먹겠다는 각별한 각오와 의지를 가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민주노동당과 민주당은 "병 줄 땐(국회 본회의 통과) 언제고 이제 와서 약(농사대책) 주는 척 하느냐"며 양 당의 이같은 행보를 가증스런 행동이라고 비난했다.특히 민주노동당은 성명을 통해 "쌀 협상 비준안이 국회를 통과한 것은 농민을 죽이는 폭거"라면서 "이에 대한 보고대회를 전국적으로 열어 규탄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