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수첩은 황우석 교수팀의 강성근 교수가 DNA검 사결과가 과학적 오류 투성이라고 주장한데 대해 "어처구니 없는 주장"이라고 반박했다.
강 교수는 황 교수팀이 DNA분석을 위해 PD수첩에 건네준 바탕영양세포 5개는 모두 동일한 쥐에서 추출한 세포이며, 따라서 적어도 이 부분에 대한 유전자 검사는 동일한 결과가 나와야 되는데, 그렇지 않았다는 점을 들어 PD수첩의 DNA검사결과를 믿지 못하겠다고 주장했다.
강 교수에 따르면 이른바 '마우스 피더셀'이라 불리는 이들 쥐 유래 바탕영양세포는 전체적으로 볼 때는 판독 불가능한 것으로 나왔지만, 세부적으로 보면 일부 확인된 마커가 서로 일치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PD수첩 한학수 PD는 황 교수팀이 애초 PD수첩에 들려준 이야기를 스스로 부정하는 "말도 안되는 주장"이라고 말했다.
한 PD에 따르면 DNA검증 결과가 나와 지난 11월17일 PD수첩팀은 황 교수팀과 만났다. 검사결과는 DNA검사를 실시한 40개의 검체 중에서 유일하게 판독 가능했던 2번 배아줄기세포가 '불일치'한다는 것이었다.
이 자리에서 황 교수는 PD수첩에 건네준 바탕영양세포는 2번 배아줄기세포를 복제하는데 사용한 환자의 체세포를 배양해서 추출한 것이라고 PD수첩에 직접 밝혔다는 것이 한 PD의 주장이다.
한 PD는 이 자리에서 양측간에 오고간 이야기는 모두 녹취됐으며, 방송시기가 언제 될 지는 모르겠지만 2탄을 방송할 때 모두 공개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한 PD의 말을 종합하면 강 교수의 주장처럼 황 교수팀이 PD수첩에 건네준 바탕영양세포는 쥐에서 추출한 것(마우스 피더셀)이 아니라 인간 체세포, 그것도 문제의 2번 배아줄기세포를 만든 환자의 체세포에서 유래한 '휴먼 피더셀'이라는 것이다.
황 교수는 특히 '환자 맞춤형 배아줄기세포' 확립에 성공할 수 있었던 제1요인은 황 교수팀이 쥐 바탕영양세포가 아니라 인간 바탕영양세포를 사용함으로써 혹시 동물에서 유래할 수 있는 각종 동물성 질병 유발의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PD수첩에 설명했다고 한 PD는 말했다.
이처럼 어느 쪽의 주장이 사실인지 모를 정도로 양측의 공방이 점점 더 거세지고 있는데 대해 한 PD는 "문제 해결은 간단하다. DNA재검사를 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는 것도 아니다. 이틀이면 된다. DNA검사를 다시 실시하면 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