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카트로닉스산업과 나노, 모바일, 전통생물소재산업, 섬유 등 대구 전략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전략산업기술지도'가 공개됐다.
대구전략산업기획단은 19일 대구지역 산업의 향후 10년간 중장기 기술 종합계획인 '지역전략산업기술지도(RTRM:Regional Technology Road Map) 작성을 마무리, 20일 대구테크노파크 성서 벤처타운에서 '전략산업기술지도' 보고회를 가질 계획이다. '전략산업기술지도'는 시장 수요에 대한 예측을 통해 필요 기술 및 제품 등 대구의 성장을 이끌 분야를 도출하고 육성을 위한 최선의 방법을 제공하는 '로드맵'이다.
대구전략산업기획단은 지난해 9월부터 14개월간 기업 수요 및 전문가 조사 등을 통해 지역 역량을 반영하고 국가기술지도 및 다른 지역의 산업기술지도 등을 검토, 대구의 5대 전략산업의 각 분야별 핵심 품목 및 기술을 도출했다. 이와 함께 실행 계획에 필요한 인력 양성, 마케팅 전략, 인프라 구축 및 활용 전략 등 현실적 기술 로드맵을 마련하게 됐다.
문수연 대구전략산업기획단 기획조정실장은 "시장수요 도출을 통해 각 산업별로 ▷주력사업 ▷유망 ▷유지 ▷선택 등 4가지 사업군으로 분류, 대구전략산업기술지도를 작성했다"며 "내년에는 이를 바탕으로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을 집중 육성할 수 있는 방안을 만들어낼 계획"이라고 말했다.
▶메카트로닉스산업
자동차 부품, 디스플레이 장비, 기계·전자 요소 부품 등을 주력산업군으로 선정, 집중 투자해야 할 것으로 분석했다. 기계·전자 요소부품 분야의 경우 자동차 부품, 디스플레이 장비 및 첨단 의료재활, 스포츠기기 산업의 성장을 뒷받침해야 하기 때문에 주력산업군으로 꼽혔다. 섬유기계는 유망산업군으로 선정됐다.
▶나노분야
탄소나노소재, 환경나노부품, 친환경나노섬유가 주력산업군에 선정됐다. 에너지나노부품, 의료용나노섬유, 에너지나노섬유는 유망사업군, 금속 및 세라믹나노소재와 고기능성나노섬유는 유지사업군, 유무기복합나노소재, 디스플레이나노부품은 선택적사업군으로 꼽혔다.
▶모바일산업
인공지능 및 정보보호 분야가 주력사업군으로 채택됐고, 멀티미디어·부가 모듈·센서 및 인식·디스플레이·광대역 전송 등은 유지사업군으로 꼽혔다. 유망사업군과 선택적사업군에는 선정된 산업이 없다.
▶섬유산업
섬유산업은 패션소재, 산업용섬유, 홈텍스타일, 섬유기계 등 크게 4가지 나뉜다.
섬유분야 주력품목엔 오감어필섬유, 인체친화성섬유, 자동차 및 스포츠레저 등 산업용 섬유분야가 선정됐고 인테리어, 생활용품, 섬유기계는 유망품목으로 채택됐다. 또 침장 및 신산업용소재는 유지산업군으로 꼽혔다.
▶전통생물소재산업
지역 전통생물소재산업은 크게 기능성발효식품, 건강기능식품, 천연물 신(의)약 등 3개 분야로 나눠지는데 이중 기능성발효 식품 분야의 대두발효제품과 젖산발효제품이 주력품목으로 선정됐다. 바이오식품소재, 노화억제 및 장수용 제품, 대사설질환개선용 제품, 심혈관계 치료제품, 내분비대사계 치료제품 등은 유망품목, 전통양조주, 암계 및 신경계, 면역계, 감염계, 소화기계, 호흡기계 치료제품은 선택품목으로 꼽혔다.
이호준기자 hoper@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3500억 달러 선불 지급, 외환부족 우려에…美 "달러 대신 원화로 투자"
[단독] 中 건보료 55억원 흑자? 6조원 받아갔다
AI 시대 에너지 중요한데…'탈원전 2막' 가동, 에너지 대란 오나
대법원 휘저으며 '쇼츠' 찍어 후원계좌 홍보…이러려고 현장검증?
대법정 법대 오른 범여권 의원들, 주진우 "사법부 짓밟는 상징적 장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