놓치고 싶지 않은 이성과의 결혼을 가족이 반대하면 남성은 비밀동거를, 여성은 비밀교제를 하려는 성향이 상대적으로 강한 것으로조사됐다. 결혼정보회사 비에나래는 미혼남녀 632명(남녀 각 316명)을 대상으로 4∼9일 설문조사를 한 결과 '가족의 결혼 반대에 극단적으로 취할 수 있는 행위'를 묻는 질문에 남성은 '몰래 같이 산다'(48.9%)가, 여성은 '몰래 계속 만난다'(34.7%)란 대답이가장 많았다고 19일 밝혔다.
'가족 중에 배우자 결정에서 영향력이 가장 큰 사람'은 남성(55.9%)과 여성(50. 8%) 모두 어머니를 꼽았고 다음이 아버지(남성 30.1%, 여성 38.1%), 형제(남성 5.4%, 여성 4.7%) 순이었다.
'어떤 이유로 결혼을 반대할 때 받아 들이기 힘든가'란 물음에 남성의 32.3%와여성의 34.8%가 '상대방 부모의 신분'이라고 답했다. 이어 남성은 상대방의 '혼수·지참금'(15.1%), '종교'(10.8%), '학력·교양'(9.
7%)을, 여성은 상대방의 '직업·재산'(14.5%), '나이'(11.6%), '성격·인성'(10.2%) 등을 이유로 결혼을 반대하는 것을 납득할 수 없다고 밝혔다.
'가족이 가장 중시하는 배우자 조건'으로 남성(69.7%)과 여성(39.8%) 모두 '인성·성격'을 꼽았고, 이 밖에 남성은 상대방의 '집안 분위기'(10.1%), '학력·교양' (9.0%)을, 여성은 '직업'(18.4%), '종교'(12.2%) 등을 가족이 중요하게 여긴다고 말했다.
본인 가족의 반대로 결혼이 무산된 경험은 남성이 23.1%, 여성은 27.3%였고 상대방 가족의 반대로 결혼에 실패한 비율은 남성 21.7%, 여성 18.7%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