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속편의 기세가 놀랍다. 작년 추석 때 속편 '가문의 위기:가문의 영광2'가 전편 '가문의 영광'의 흥행 기록을 넘어서 한국 코미디 장르 영화 흥행사를 다시 쓰더니 올 설 시즌을 앞두고 '투사부일체'가 만만찮은 성적을 보이고 있다.
'투사부일체'는 19일 개봉 첫 주말 전국 관객 166만 명을 불러모았다. 이는 '태풍'과 '태극기 휘날리며'에 이은 역대 개봉 스코어 3위의 기록이며, 설 연휴 흥행 기록을 이어간다면 350만 명이 들었던 전편 '두사부일체' 기록을 쉽게 깰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두사부일체'가 2001년 개봉 당시 '18세 이상 관람가' 판정을 받았던 것에 비해 '투사부일체'는 '15세 이상 관람가 등급'을 받아 흥행 성공에 더 낙관적이다.
작년 초에는 '공공의 적2'가 391만 명이 들어 2002년 303만 명이 들었던 '공공의 적'보다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작년 추석 '가문의 위기'는 전국 관객 566만 명이 들어 516만 명이 관람했던 '가문의 영광'을 뛰어넘은 바 있어 아우가 형을 이기는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장군의 아들' '투캅스' '여고괴담' 등이 일부 성공한 시리즈로 꼽히기는 하지만 얼마 전까지 '조폭 마누라' '달마야 놀자' 후속편이 썩 좋지 않은 성적을 거둬 '전편보다 나은 속편 없다'는 속설을 확인시켰던 것에 비하면 달라진 환경이다.
'가문의 위기'의 경우 전편과 전혀 다른 출연진이 등장해 비슷하면서도 다른 분위기의 영화를 만든 데 비해 '투사부일체'는 전편의 주요 출연진이 그대로 등장해 주인공 계두식이 고교생에서 교생으로 신분이 바뀐 설정으로 관객을 공략하고 있다.
코미디 장르의 경우 한 편으로 끝맺는 게 아니라 캐릭터가 살아있다면 계속해서 이야기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흥행작의 속편은 전편의 브랜드 가치를 그대로 이어받는 장점이 있다. 별다른 마케팅 전략이 없어도 관객은 영화의 기본 틀을 이해할 수 있다.
속편이 풍성하게 제작되는 것은 영화계가 활황을 이룰 때 일어나는 현상이라는 것도 주목할 만한 일. 할리우드에서도 '다이하드' '에일리언' '터미네이터' '쥬라기공원' 등 시리즈가 나왔던 시기를 가장 활황을 맞았던 시기로 보고 있으며, 속편 제작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한국 영화계도 현재 르네상스 시대를 맞고 있다.
'두사부일체'에 이어 '투사부일체'에서도 주인공으로 나선 정준호는 "촬영기간이 두 달로 비교적 짧았음에도 배우들이 캐릭터를 완전히 숙지하고 있어 연기하는 데 별 어려움이 없었다"면서 "캐릭터를 연구할 시간이 줄어들어 다른 부분에 더 공을 들일 수 있다"는 것을 속편 연기의 장점으로 꼽았다.
비록 최근 속편이 흥행에 성공하고 있지만 속편의 경우 '뭔가 더 새로운 것'을 만들어야 한다는 부담은 오히려 더 크다. 여간해선 관객이 더 좋은 평을 내리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달마야 놀자'와 '달마야 서울 가자'를 기획했던 영화사 아침의 정승혜 대표는 "속편을 의미하는 '투(two)'는 단순한 후속편이 아니라 '더블'을 의미한다고 말할 만큼 더 센 내용과 더 많은 공을 들여야 한다"면서 "전편의 영광에 기대서 에피소드가 반복되면 관객은 냉정하게 평가한다. 내용 면에서 더 튼실하지 않으면 성공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가문의 영광'과 '두사부일체'는 이미 3편 기획에 들어갔다. 2월 개봉할 김수로 주연의 '흡혈형사 나도혈'은 아예 기획 단계부터 총 3편의 시리즈물로 제작할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이 외에도 '여고괴담'을 비롯한 몇몇 작품의 속편이 제작될 예정이어서 한국 영화계에 속편 제작 흐름은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성추행 호소하자 2차 가해, 조국은 침묵"…강미정, 혁신당 탈당
7년 만에 악수 나눈 우원식·김정은…李대통령, 禹 통해 전한 메시지는?
우원식 "김정은과 악수한 것 자체가 성과"…방중일정 자평
[단독] "TK통합신공항 사업명 바꾸자"…TK 정치권서 목소리
고개 숙인 조국혁신당 "성비위 재발 막겠다…피해회복 끝까지 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