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책사업인 자기부상열차 시범사업 대구유치를 위한 정책토론회가 열리고, 이달 중 민간, 학계, 경제계, 정·관계 인사들을 망라한 범시민유치위원회가 구성되는 등 자기부상열차 대구 유치를 위한 행보가 빨라지고 있다.
3일 오전 엑스코 대구에서 열린 '자기부상열차 대구유치 정책토론회'에서 안용모 대구시 정책개발담당관은 '대구유치 전략', 신병천 한국기계연구원 본부장은 '국내·외 자기부상열차 기술적 검토 및 실용화 방안'을 각각 발표했다.
사회를 맡은 서상기 국회의원은 "사업비 7천억 원을 전액 국가에서 지원하는 자기부상열차 시범사업을 대구가 놓쳐서는 안 된다"며 "대구유치 범시민위원회를 설립해 시민들이 한마음으로 유치운동을 전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주제발표에 나선 안 정책개발담당관은 "고속철도와 대구시가지의 상호 연계, 엑스코 대구 등 신도심 주요거점의 교통체계 구축, 동대구역세권 개발 등을 위해 대구시는 자기부상열차 시범노선 유치에 전력 투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엑스코 대구~수성구 범어동 궁전맨션 앞 대구시 계획노선을 중앙부처 자기부상열차 실용화사업 시범노선으로 지정해줄 것을 지난해 11월 건설교통부에 건의했다"며 "자기부상열차가 건설되면 이용자 측면에서 시간 및 비용 절감은 물론 대구 동북부 지역의 획기적 발전을 가져오는 등 엄청난 파급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대구는 수송 수요, 사업규모, 사업추진 일정 등에서 자기부상열차 시범노선으로서의 필요조건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며 "반면에 인천이나 대전 등은 수송수요가 부족하거나 노선여건이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신병천 본부장은 "자기부상열차 상용화 추세와 세계적 기술경쟁 면에서 볼 때 자기부상열차 실용화 사업을 조속히 확정,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장기간의 시일이 필요한 사업인 만큼 지금부터 제도 및 법령 정비, 기술보완, 노선선정, 건설 등에 착수하더라도 5, 6년 후에나 상용화가 가능하다"고 내다봤다.
어어진 토론에는 대구시 및 산업자원부, 한국철도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경북대, 계명대, 낙동경제포럼 등 각계 인사 8명이 참여해 자기부상열차 시범사업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한편 대구시는 지역국회의원과 시의회, 시민단체, 학계, 경제계, 언론계 등 각계 인사 25명 정도로 구성되는 자기부상열차 대구유치 범시민위원회를 이달 중 구성하기로 했다. 또 7월에는 자기부상열차 노선에 대한 주민 공청회도 열 방침이다.
이대현기자 sky@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