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물치는 한자로 여어(?魚)라 부르는데 이조 선조 때 유몽인(柳夢寅)의 어우야담(於于野譚)에서는 부인에게 좋은 물고기라 하여 가모치(加母致)라고 별명을 붙이기도 하였다. 요즘도 출산을 한 젊은 여성들은 누구나 산모에 좋은 영양 식품으로 알고 서로 권하면서 즐겨 먹고 있다.
실제 산후에는 기력이 탈진해 있으므로 영양을 보충하는 데 있어서도 육류에 비해 소화에 비교적 부담이 없는 물고기를 많이 선택해 왔던 것이다. 그래서 산후 부종이 심할 때는 씨를 뺀 호박에 미꾸라지를 넣어 먹기도 하며 잉어 붕어 가물치 장어 등으로 곰을 해먹기도 하고 있다.
모든 음식이나 한약으로 쓰이는 동식물은 그 성질이 있으므로 그것을 잘 활용하자는 것이 한의학이다. 산후에 보를 하는 음식의 경우도, 육류보다는 냉혈동물이면서 담백한 물고기가 소화에도 부담이 없고 영양도 충분하여 산후에 더 적합하다는 것이 한의학적인 견해이다.
가물치의 효능에 대해 모든 한의학 서적에서는 공통적으로 맛은 달고 성질은 냉하며 부종을 다스린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산후에 우울증과 불만으로 인해 속열이 있어 소변이 잘 나가지 않고 부기가 빨리 빠지지 않을 때 잠시 먹으면 단 맛으로 영양 보충도 되면서 그 냉한 성질로 울화를 식히고 소변을 통해 주니 산후 부종을 빨리 푸는 것이다.
그러나 몸에 찬바람이 느껴지고 젖이 묽으며(물젖) 속이 냉하여 냉수를 먹었다 하면 소화가 안 되고 설사하는 산모라면 성질이 냉한 가물치보다는 붕어나, 이이어 미꾸라지 등이 회복에 더 유리할 것이다.
김순재 편집위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