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시도 행정통합 방안' 후보마다 해법 달라

이번 지방선거에서 핫이슈로 떠오른 대구·경북 통합문제에 대해 각 후보별로 의욕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있으나 해법은 제각기 달라 향후 선거판도에 따른 추이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열린우리당 이재용 대구시장 예비후보와 박명재 경북도지사 예비후보는 15일 행정통합 방안에 대해 ▷내년 6월 주민투표 ▷2008년 통합법률안 마련 ▷2010년 7월 '통합 대구·경북도' 출범 등의 일정을 제시했다.

이에 대해 김범일 한나라당 대구시장 예비후보는 이날 오후 기자회견을 갖고 "궁극적으로 행정통합이 이뤄져야 한다. 그러나 힘에 의한 과거 권위주의적 행정통합 발상은 위험하다."며 신중한 입장을 나타냈다.

김 후보는 "행정통합은 우선 가능한 것부터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경제협력 확장 ▷공무원 인사교류 ▷유사기관 통합 ▷행정통합 등 4단계 통합방안을 내놓았다.

김 후보는 "EXCO 제2관, 한방바이오산업, 공동 시장개척단 파견 등 경제협력 분야를 확대한 뒤 대구·경북 행정감사 교체 실시와 인사 교류 등 공무원 교류를 활성화해야 한다. 분위기가 무르익을 경우 대구시와 경북도의 관련 단체, 공사 및 공단 등 유사기관 통합을 통해 상호 이해의 폭을 넓힌 다음 행정통합 단계로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연재 민주노동당 대구시장 예비후보도 "행정통합 이전까지는 상호협력시스템의 구축이 관건"이라며 "대구·경북 상호협력 의식을 높이고, 정책적 동질성을 확보해 재정과 자원의 중복투자를 막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그러나 "행정통합은 전국적 행정체계 개편과 맞물려 있어 대구·경북만의 행정통합은 별 실효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대구·경북을 넘어 특정분야에서는 영남권 전체를 바라보는 관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백승홍 무소속 대구시장 예비후보는 행정통합의 당위성을 전제한 뒤 "시도 간 상호 중복 투자된 전략산업에 대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 행정통합 이전에 인사 교류부터 실시해 공동체적 동질성을 회복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입장 유보 또는 반대 의견을 분명히 한 후보도 있다.

김관용 한나라당 경북도지사 예비후보 측은 "통합을 하고 안하고는 나중 문제다. 정책적인 일은 유권자가 판단할 일이지 정쟁으로 흘러서는 안 된다."며 명확한 입장표명을 유보했다.

박승국 국민중심당 대구시장 예비후보도 "경제통합에 대한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 과연 필요한지에 대한 전문가 판단이 없는 상태에서 행정통합은 시도민을 현혹시키는 공약"이라며 "행정통합은 진정한 지방분권을 막는 처사"라고 반대입장을 나타냈다. 김병구기자 kbg@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