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임금협상 난항'…준공영제 도입해도 파업위기

지난 2월 시내버스 노선 개편 이후 대구 시내 대중교통 이용인구가 100만 명을 돌파하는 등 대중교통이 시민의 발로 자리잡은 가운데 시내버스 노조가 이달 말 파업불사를 선언, 대혼란이 우려되고 있다.

노선개편과 더불어 시행된 시내버스 준공영제(버스적자를 대구시가 보전)를 핑계로 사용자 측이 노사협상 창구를 대구시로 떠넘겨 노사협상이 파국으로 치닫고 있는 것.

지난 8일 임금 협상 결렬 후 경북지방노동위원회(경북지노위)에 쟁의조정을 신청한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대구버스지부는 15일 임금 재협상에 실패했고, 16일 오전 경북지노위 조정회의에서도 사측과 의견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경북지노위의 쟁의조정 마감 시한은 오는 22일로 버스노조는 이날 찬반투표를 실시하고 투표결과에 따라 24일쯤 파업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노측은 10.1% 임금 인상안과 주 40시간 도입을 주장하는 반면 사측은 "준공영제 이후에는 대구시가 근로조건 결정권을 가진다."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다.

이에 대해 대구시 관계자는 "조만간 시가 떠안아야 할 임금 인상분을 놓고 사측과 협상에 들어갈 계획"이라 밝혔다. 지난 9일과 15일에 걸쳐 대구보다 먼저 노사 협상을 끝낸 부산과 대전의 임금 인상분은 5%선.

대구시는 대구 시내버스도 이 정도선에서 실제 임금인상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보지만 '퇴직금 정산 문제'가 최대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사측과 대구시는 ▷준공영제 시행 이전 퇴직금 적립은 사측이, 시행 이후는 시가 부담하는 방안과 ▷준공영제 시행 전후 모두를 시가 책임지는 방식을 두고 첨예하게 맞서고 있다.

대구시 측은 "임금 인상보다는 임금 인상에 따른 퇴직금 재원 부담이 더 큰 문제"라며 "임금 인상 상당 부분을 시가 떠안아야 하는 데는 이견이 없지만 퇴직금 적립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사측과 시의 물밑 협상도 난항을 겪을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버스조합 관계자는 "결국 이번 파업 여부는 사측과 시의 물밑 협상 여부에 달려 있다."며 "시가 사측의 부담만 강요할 경우, 노사협상 결렬에 따른 노조파업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상준기자 all4you@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