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20대 젊은이들은 '자본주의'라는 말에 가장 먼저 '경쟁'을 떠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30·40대 연령층은 자본주의의 첫 번째 이미지로 '물질적 풍요'를, 50·60대는 '빈부격차'를 꼽았다.
최숙희 삼성경제연구소 연구원은 18일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서베이리서치센터와 삼성경제연구소가 공동 주최한 제3차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심포지엄에서 이 같은 설문 결과를 소개했다.
두 기관이 지난해 전국 1천61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 조사에서 자본주의 이미지에 대한 질문에 20대의 30.5%가 '경쟁'이라고 답했다.
30대와 40대에서는 '물질적 풍요'(30대 31.5%, 40대 31.8%), 50대와 60대에서는 '빈부격차'(50대 28.4%, 60대 17.8%)가 연상된다는 대답이 가장 많았다.
전체 통계에서는 물질적 풍요(25.5%), 빈부격차(23.1%), 경쟁(22.8%), 부정부패(8.4%), 풍부한 기회(6.4%)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지난 2004년 조사에서는 빈부격차(28.1%)가 물질적 풍요(21.2%)를 앞지른 바 있다.
최 연구원은 "2004년 조사에서는 2003년의 3%대 경제성장률이 반영돼 '빈부격차' 응답 비율이 높았으나 2004년 성장률이 4.6%로 회복되면서 '물질적 풍요'가 다시 우선 순위에 오른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현재 우리나라 경제상황에 대한 만족도를 묻는 질문에는 전체의 64.1%가 '불만족스럽다'고 답했으나 2004년의 80.8%와 비교해 '불만족' 비율이 크게 낮아졌다.
반면 한국경제 전망에 대해서는 '좋아질 것'(47%)이라는 긍정적 대답이 '나빠질 것'(21.5%)이라는 부정적 견해보다 우세했다.
이 밖에 설문 대상자 가운데 24%는 기업이 호감을 얻기 위한 첫 번째 조건으로 '투명한 경영'(24.1%)을 꼽았고, 61%는 우리나라 노조활동을 '강경하다'고 평가했다. 우리나라 대기업의 규모에 대해서는 앞으로 '커져야 한다'(46.9%)는 의견이 '작아져야 한다'(28.9%)는 의견보다 많았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